♬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경산이씨(京山李氏)
    유래
     시조 : 이덕부(李德富)
    시조 이덕부(李德富)는 원래 계림(현 경주)사람으로 신라 신덕왕의 외손이다.
    고려 의종, 명종 때 악거부정(樂居副正)을 역임하면서 정중부(鄭仲夫) 등에 의해 무신의 난이 일어나자 경산부 본아리((本牙里:현재의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으로 이사하였다.
    그 후 이덕부의 장손 이춘년(李椿年)의 후손들은 본관을 경산이씨로 하였고,
    차손 이교년(李喬年)의 5세손 이고(李枯)는 청송 부원군이 되면서 청송이씨로 하였다.

    -시조묘는 경북 성주군 월항면 안포동에 있다.
    인물
    이감은 이성용(李成裕)의 아들로 고려 공민왕 때에 과거에 급제하고 벼슬이 부윤(府尹)에 이르렀다.
    이능(李能)의 사위로 본아리에서 암포(월항면 안포동)로 이사하여 살았다.
    이흥문(李興門)은 도호부사(都護府使) 이번(李蕃)의 아들로 문장이 뛰어나고 조선 문종 때에는 대사헌(大司憲)을 지냈다.
    그밖에 고려시대의 인물로는 부원군(府院君) 이호, 송안군(松安君) 이미, 판도판서(版圖判書) 이이,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지평(持平) 이영문(李榮門), 중랑장(中郞將) 이엽(李曄), 현감(縣監) 이안(李晏), 병조좌랑(兵曺佐郞) 이형천(李亨千), 생원(生員) 이우세(李禹世), 이조좌랑(吏曺佐郞) 이병형(李秉瑩),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이병흠(李秉欽), 학자(學者) 이현창(李鉉昌) 등이 있다.
    구한말의 우국지사 이만성(李萬成), 이수준(李秀埈), 이계원(李啓源) 등이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세인(李世仁)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성종17년(1486) 식년시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생원진사시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산이씨가 많이 모여 살고 있는 곳은 경북 성주군 일원이다.
     부장공파(部將公派)는 10세손 이엽(李曄)의 첫째 아들 창신교위(彰信校尉) 이수언(李秀堰)의 자손들로서,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암포, 벽진면 수남 등에 거주하였다.
     사직공파(司直公派)는 이엽의 둘째 아들 부사직(副司直) 이수제(李秀堤)의 자손들로서,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암포 등에서 살고 있다.
     진사공파(進士公派)는 이엽의 셋째 아들 진사 이수오(李秀塢)의 자손들로,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암포 등에 거주하였다.
     군수공파(郡守公派)는 이엽의 넷째 아들로 숙부 이안(李晏)에게 양자로 간 이수장(李秀場)의 자손들로,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적산, 선남면 저정, 초전면 송천 등에서 살고 있다.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는 8세손 이번(李蕃)의 둘째 아들 이보문(李保門)의 자손들로, 성주군 초전 등에서 살고 있다.
    족보발간
    -기묘보
    -신사보
    -무오보 : 1618년(조선 광해군 10년)
    -신사재보 : 1821년(조선 순조 21년)
    -계축보 : 1973
    항렬자
    21世
    ○수(壽)
    ○동(東)
    22世
    병(秉)○
    기(基)○
    23世
    ○준(埈)
    24世
    탁(鐸)○
    종(鍾)○
    25世
    ○원(源)
    ○영(永)
    26世
    근(根)○
    상(相)○
    27世
    ○훈(薰)
    ○열(烈)
    28世
    재(在)○
    재(載)○
    29世
    진(鎭)○
    호(鎬)○
    30世
    ○숙(淑)
    ○영(泳)
    31世
    ○추(樞)
    ○주(柱)
    32世
    희(熙)○
    휴(烋)○
    33世
    ○달(達)
    ○원(遠)
    34世
    용(鏞)○
    용(鎔)○
    35世
    ○한(漢)
    ○순(淳)
    36世
    병(柄)○
    정(楨)○
    37世
    ○묵(默)
    ○후(煦)
    38世
    지(志)○
    효(孝)○
    39世
    -
    40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2世孫은 21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
    경산(京山)은 경상북도 성주군(星州郡)에 있던 옛 지명으로 6가야 중 벽진가야(碧珍加耶)로 가야연맹의 중심국 중의 하나였다. 신라가 가야 지역에 진출함에 따라 신라의 세력권에 들게 되어 벽진군(碧珍郡) 또는 본피현(本彼縣)이 설치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안현(新安縣)으로 개칭, 성산군(星山郡: 加利縣)의 영현이 되었고, 후에 벽진군(碧珍郡)으로 개편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경산부(京山府)로 승격되었다가 981년(경종 6) 광평군(廣平郡)으로 강등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대주(岱州)로 개칭하여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1012년(현종 3) 단련사를 폐지한 후 1018년(현종 9)에 다시 경산부로 환원되었다. 1295년(충렬왕 21) 흥안도호부(興安都護府)로 개편 되었다가 곧 성주목으로 승격했으나 이 역시 1310년(충선왕 2)에 경산부로 환원되었다. 조선 태종 때 성주목으로 다시 승격되었고, 그 후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성주군으로 군수를 두었고, 1896년에는 경상북도 성주군이 되었다. 1979년에는 성주면을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경산이씨는
    1985년에는 1,875가구 7,909명, 2000년에는 2,551가구 7,97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6,68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