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공주이씨(公州李氏, 공산)
    유래
     시조 : 이천일(李天一)
    시조 이천일(李天一)은 신라 때 사람으로 문장가로 이름을 날려 기원전 53년(신라 박혁거세 5년)에 한나라에 들어가 대사마(大司馬) 대장군(司馬大將軍)이 되어 흉노적(匈奴賊) 정벌에 공을 세워 요동백(遼東伯)이 되었다.
    병으로 귀국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문하시중 평장사(門下侍中 平章事)에 이르고 공산부원군(公山府院君, 공주)에 봉해졌다. 시호(諡號)는 문무(文武)이다.
    그래서 후손들이 공주를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계승하고 있으며 공산이씨(시조는 이응규: 李應圭) 로 부르는 종문이 있으나 같은 집안이다.
    또한 31세 이백령(李栢齡)이 양산이씨, 34세 이자송(李子松)이 수원이씨로 갈라졌다.

    -시조묘는 충남 공주군 월송동 충절사에 단을 세우고 매년 음력 10월 5일에 향사한다.
    인물
    공주이씨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번성하여 조선에서 문과 급제자 13명을 배출하였다.
    조선초의 이명덕(李明德)은 1396년에 생원으로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 대사헌(大司憲), 동지총제를 거쳐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에 승진하고 궤장을 하사받았다.
    인조 때의 이건(李鍵)은 1624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고 6조판서(六曺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에 이르렀으며, 이붕수(李鵬壽)는 1592년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길주, 서천 등지의 싸움에서 공을 세우고 옥탑평(玉搭坪) 싸움에서 전사했다. 전공으로 지평(持平)에 추증되고 뒤에 다시 감찰(監察)에 가증(加贈)되었다.
    이응거(李膺擧)는 1788년 학행과 효행으로 천거되어 숭례전랑(崇禮殿郞)이 되었다. 그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도총관을 거쳐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에 이르렀다.
    이원배(李元培)는 조선 정조 때의 인물로서 1798년 추천을 받아 왕 앞에 나아가서 구경(九經)에 대한 질문에 적절하게 대답하여 많은 상을 받았다. 1801년 장릉령(莊陵令)에 보직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구한말의 인물인 이봉창(李奉昌)은 서울 출신으로 19세 때 용산역 만철견습소에 입소하여 1924년에 퇴직하고 1931년 상해로 건너가 한인애국단에 가입, 김구와 접촉하며 일본천황의 암살을 기도하고 기회를 노렸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후에 시곡형무소(市谷刑務所)에서 사형당했으며 1962년 대한민국건국공로훈장 복장이 수여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명덕(李明德) : 문과(文科) 태조5년(1396) 식년시 병과(丙科)
     이진상(李鎭常, 1732 壬子生) : 문과(文科) 영조51년(1775) 별시 병과(丙科)
     이여(李璵, 1673 癸丑生) : 문과(文科) 숙종43년(1717) 별시 병과(丙科)
     이형태(李亨泰, 1791 辛亥生) : 문과(文科) 헌종4년(1838) 함경도도과 병과(丙科)
     이병덕(李秉德, 1794 甲寅生) : 문과(文科) 순조15년(1815) 정시 병과(丙科)
     이여해(李汝海) : 문과(文科) 선조15년(1582) 식년시 병과(丙科)
     이원규(李源奎, 1844 甲辰生) : 문과(文科) 고종24년(1887) 별시3 병과(丙科)
     이기조(李基肇, 1841 辛丑生) : 문과(文科) 고종7년(1870) 식년시 병과(丙科)
     이극공(李克恭) : 문과(文科) 명종1년(1546) 증광시 병과(丙科)
     이시온(李時○, 1603 癸卯生) : 문과(文科) 인조4년(1626) 별시 을과(乙科)
    등 모두 7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4명, 무과 18명, 생원진사시 39명, 역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충남 보령군 청소면 재정리
    -경남 하동군 장진면 월운리
    -전남 화순군 춘양면 회송리
    -전남 화순군 춘양면 양곡리
    -전남 화순군 청풍면 차리
    항렬자
    56世
    ○호(鎬)
    57世
    운(雲)○
    58世
    ○인(仁)
    59世
    병(炳)○
    60世
    ○규(圭)
    61世
    종(鍾)○
    62世
    ○수(洙)
    63世
    상(相)○
    64世
    ○훈(勳)
    65世
    성(城)○
    66世
    ○건(鍵)
    67世
    영(泳)○
    68世
    ○모(模)
    69世
    현(炫)○
    70世
    ○타
    71世
    용(鎔)○
    72世
    ○원(源)
    73世
    병(柄)○
    74世
    ○열(烈)
    75世
    은(垠)○
    76世
    ○석(錫)
    77世
    홍(泓)○
    78世
    ○근(根)
    79世
    영(映)○
    80世
    -
    81世
    -
    82世
    -
    83世
    -
    84世
    -
    85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57世孫은 5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
    공주(公州)는 충청남도 동부 중앙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475년(백제 문주왕 1)에 위례성(慰禮城)으로부터 이곳에 수도를 옮기고, 538년(성왕 16) 사비성(泗沘城: 扶餘)으로 천도하기까지 약 64년간 백제의 수도로 문화의 꽃을 피운 중심지이다. 백제가 멸망한 660년 이후 당나라가 웅진도독부(熊津都督部)를 두었는데, 670년(문무왕 10)에 신라가 차지하여 신문왕 때 웅천주(熊川州)로 고쳤다가, 685년(신문왕 5)에 웅주(熊州)로, 757년(경덕왕 16)에 다시 웅주도독부로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공주라 개칭하고 도호부를 두었다. 983년(성종 2) 목(牧)을 두었다가 993년(성종 12) 절도사(節度使)를 두고 안절군(安節郡)이라 칭하여 하남도(河南道)에 속하게 하였다. 현종(顯宗) 때는 절도사를 폐지하고, 그 후 지주사(知州事)로 강등하였다가, 1341년(충혜왕 복위 2) 목으로 승격되었다. 세종 때 진(鎭)을 두었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가 설치되면서 공주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남도 공주군이 되었다. 1931년 축소되었던 공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86년에 다시 공주시(公州市)로 승격하였으며, 1995년에는 공주군과 통합하여 공주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공주이씨는
    1985년에는 6,809가구 28,674명, 2000년에는 10,764가구 35,14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0,90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