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광주이씨(廣州李氏)
    유래
     시조 : 이당(李唐)
    시조는 이당(李唐)은 고려 말에 국자감 생원시에 합격하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자헌대부(資憲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겸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에 증직되었다.
    "흥지승람(興地勝覽)" 경기도 광주인물편에 의하면 그는 원래 광주출신 관리로 국자(國子) 생원(生員)에 올라 행실이 어질었으며 아들 5형제를 두었는데 모두 문과에 급제했다고 한다.

    이당의 다섯 아들 중 둘째인 고려 말의 학자 둔촌(遁村) 이집(李集)이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높은 학문으로 이름을 날렸고 그의 집이 있던 고을은 그의 이름을 따서 오늘날 서울의 둔촌동이 되었다. 광주이씨는 이집을 1세조로 하고 있다.

    그러나 광주이씨 계파간에 시조에 대한 의견이 달라 우탄공파는 이자성(李自成)을 시조로 하고 있다. 이자성은 칠원에서 살아온 집안의 후손으로 신라 내물왕 때의 내사령(內史令)으로 서기935년 신라 패망시에 이자성은 항복을 거부하고 고려 왕건에 끝까지 저항하였다. 이같은 이유로 준안(准安. 현 경기도 광주)으로 강제이주시켜 역리(驛吏)로 삼았고, 그래서 광주를 본관으로 삼았다고 한다. 그러나 내물왕 부터 고려 때 까지 살았다면 600년간 살았다는 것이되므로 설득력이 없다.
    인물
    광주이씨는 조선시대에 정승 5명, 문형(대제학) 2명, 청백리 5명, 공신 11명을 배출했다.
    광주이씨를 중흥시킨 조상은 이당의 아들로 고려 말의 학자 둔촌(遁村) 이집(李集)이다. 그는 고려 충목왕 때 문과에 급제, 정몽주(鄭夢周), 이색(李穡), 이숭인(李崇仁) 등과 깊이 사귀었는데 공민왕 때 국정을 전횡하던 신돈(辛旽)을 논박하고 영천으로 피신했다가 신돈이 살해된 후에 돌아왔다.
    그의 세아들 이지직(李之直)은 형조참의를 지냈는데 태종 때 청백리에 녹선되었고, 이지강(李之剛)은 좌참찬, 이지유(李之柔)는 사간을 지냈다.
    이지직의 아들 이장손(李長孫)은 사인(舍人)을 지냈고, 이인손(李仁孫)은 세조 때 우의정에 이르고, 이예손(李禮孫)은 황해도관찰사를 지냈다.
    이예손의 아들 이극기(李克基)는 참판을 지내고 성리학자이었다.
    이중경(李重慶)은 이조판서를 지내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숙종 때 이조참판 이담명(李聃命)은 1690년(조선 숙종 16년) 영남 대흉년에 관찰사로 나가 치적을 올렸다.

    "오성과 한음"의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은 선조 때에 가문을 빛낸 광주이씨 가문의 큰별이다.
    32살의 젊은 나이에 대제학이된 그는 38세에 우의정, 42세에 영의정에 오른다. 임진왜란이 터지자 명나라에 가서 탁월한 외교수완으로 5만의 원병을 끌어들여 서울수복에 수훈을 세웠다.

    일제시대에 만주에서 독립군으로 활약중 체포되어 순국한 이수택(李壽澤), 을사조약후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순직한 이백래(李白來), 3.1운동당시 33인의 한 사람이었던 이종훈(李鍾勳)등의 인물이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대엽(李大燁) : 문과(文科) 광해군8년(161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수공(李守恭, 1464 甲申生) : 문과(文科) 성종19년(1488) 별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이이첨(李爾瞻) : 문과(文科) 광해군0년(1608)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희태(李喜泰, 1669 己酉生) : 문과(文科) 숙종28년(1702)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민각(李民覺, 1535 乙未生) : 문과(文科) 명종11년(155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후징(李厚徵, 1617 丁巳生) : 문과(文科) 현종7년(1666)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준인(李遵仁) : 문과(文科) 중종29년(153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명희(李命熙, 1690 庚午生) : 문과(文科) 영조22년(1746)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만영(李晩榮, 1717 丁酉生) : 문과(文科) 영조35년(1759)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극돈(李克墩) : 문과(文科) 세조14년(1468) 중시 을과(乙科)
    등 모두 71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91명, 무과 124명, 생원진사시 381명, 역과 9명, 의과 3명, 음양과 3명, 율과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17世
    ○회(會)
    18世
    병(秉)○
    19世
    ○래(來)
    20世
    용(容)○
    21世
    ○재(載)
    22世
    종(鍾)○
    23世
    ○수(洙)
    24世
    주(柱)○
    25世
    ○희(熙)
    26世
    규(圭)○
    27世
    ○현(鉉)
    28世
    해(海)○
    29世
    ○식(植)
    30世
    남(南)○
    31世
    ○옥(玉)
    32世
    선(善)○
    33世
    ○택(澤)
    34世
    영(榮)○
    35世
    ○섭(燮)
    36世
    재(在)○
    37世
    ○호(鎬)
    38世
    홍(洪)○
    39世
    ○상(相)
    40世
    형(炯)○
    41世
    ○곤(坤)
    42世
    동(銅)○
    43世
    ○철(澈)
    44世
    -
    45世
    -
    4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8世孫은 1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광주
    광주(廣州)는 서울 남부일대와 경기도 중부를 통칭하는 옛 지명으로 13년(백제 온조왕 13)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이라 불리어졌으며, 371년(근초고왕 25)까지 이곳을 한성(漢城)이라 하여 376년간 백제의 도읍이었다. 553년(성왕 31) 신라에게 땅을 빼앗겨 신라의 한산주(漢山州)가 되었다가 756년(신라 경덕왕 15) 한주(漢州)로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광주로 고치고, 983년(성종 2) 광주목이 되었다. 995년(성종 14) 12절도사를 둘 때 봉국군절도사(奉國軍節度使)로 고쳐 관내도에 예속시켰다. 1012년(현종 3)에는 안무사(按撫使)로 고쳤으며 1018년 목사를 두었다. 1395년(태조 4) 광주목으로 경기좌도에 편입되었다. 1505년(연산군 15) 주를 폐하였다가 1618년(광해군 10)에 광주부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광주군이 되었다. 1979년 광주면이 읍으로 승격한 이후 1989년 동부읍과 서부면이 하남시로 통합, 독립하는 등 규모는 축소되었다. 2001년 광주군이 광주시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광주이씨는
    1985년에는 33,816가구 141,831명, 2000년에는 48,811가구 158,24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81,37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