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덕수이씨(德水李氏)
    유래
     시조 : 이돈수(李敦守)
    시조 이돈수(李敦守)는 고려 중엽 신호위 중랑장(神虎衛 中郞將)의 벼슬을 지냈다.
    그의 증손 이윤온(李允蒕)이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사판도판서(密直使版圖判書) 등을 지냈으며 덕수부원군에 봉해져서 그의 후손들이 본관을 덕수로 하고 있다.
    인물
    조선시대에 107명의 문과급제자와 무과급제자 423명, 정승 7명, 대제학 6명, 공신 20명, 청백리 6명을 낸 덕수이씨는 중종에서 영조때 까지의 3 백년간이 가장 융성을 누린 시기로 나타나고 있다.

    시조 이돈수의 아들 이양준(李陽俊)은 조산대부(朝散大夫)로 흥위위 보승장군(興威衛 保勝將軍)을 역임하고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어사대부(御史大夫),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에 추증되었다.
    그 후 이양준의 아들 이소(李소)가 고려 고종(高宗) 때 남성시(南省試)에 급제하여 통의대부(通議大夫)로 전법 판서(典法判書)와 지삼사사(知三司事), 세자내직랑(世子內直郞) 등을 역임하였다.
    이소의 아들 형제 중 장자인 이윤온이 판도판서(版圖判書)와 상호군(上護軍)을 역임하며 나라에 공을 세워 선충경절공신(宣忠勁節功臣)에 책록되고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으로 첨의정승(僉議政丞),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에 추증되어, 덕수부원군(德水府院君)에 추봉되었다.
    중종때 대제학과 좌의정을 지낸 이행, 명종때 영의정에 오른 이기, 인조때 대제학에 오르고 이름난 학자로서 문하에 많은 학자를 배출한 이식(李植)등이 인물이다.
    이밖에 이안눌(李安訥)은 1599년 문과급제하고 여러 언관직(言官職)을 거쳐 예조와 형조판서를 역임하였고 시에 뛰어나 흔히 이태백(李太白)에 비유되었으며 글씨에도 능했다.
    그밖에 문에서는 율곡(栗谷) 이이(李珥), 무에서는 임진왜란의 영웅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등의 유명인물이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탄(李坦, 1669 己酉生) : 문과(文科) 숙종21년(1695)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이(李珥, 1536 丙申生) : 문과(文科) 명종19년(156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경증(李景曾, 1595 乙未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택진(李宅鎭, 1731 辛亥生) : 문과(文科) 영조33년(1757)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항(李沆, 1774 甲午生) : 문과(文科) 순조6년(180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민규(李敏奎, 1853 癸丑生) : 문과(文科) 고종22년(1885)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조신(李肇信, 1828 戊子生) : 문과(文科) 철종9년(1858)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양신(李亮信, 1801 辛酉生) : 문과(文科) 헌종15년(1849)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노집(李魯集, 1773 癸巳生) : 문과(文科) 순조16년(181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목(李穆, 1589 己丑生) : 문과(文科) 인조4년(1626) 별시 을과(乙科)
    등 모두 39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03명, 무과 9명, 생원진사시 275명, 역과 4명, 의과 2명, 음양과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충남 아산군 음봉면 백암리.
    충무공 이순신을 모신 겨레의 성역 현충사가 있는 이곳은 덕수이씨 가문이 4백여년을 지켜온 터밭이기도 하다.충무공은 서울에서 태어나 8살때 외가가 있던 이마을에 이사와 여기서 자랐고 그의 후손들이 마을을 지켜 이씨마을이 되었다.
    현충사 안에는 지금도 충무공의 옛집이 남아있으며 그가 활을 쏘고 무예를 닦았다는 수령 5백년 높이 20여m의 은행나무 두 그루가 우뚝하다. 1966년 성역화작업이 추진되면서 이곳에 살던 후손들은 현충사 뒤쪽으로 이주했다.
    주민소득은 농업이 주였으나 현충사부지로 많은 농토가 흡수된뒤 농업과 함께 기념품을 참배객에게 팔아 소득을 올린다.
    항렬자
    23世
    민(敏)○
    24世
    ○영(永)
    25世
    종(種)○
    26世
    ○희(熙)
    ○열(烈)
    ○환(煥)
    27世
    재(載)○
    28世
    ○용(鏞)
    29世
    호(浩)○
    30世
    ○상(相)
    31世
    우(愚)○
    32世
    ○균(均)
    33世
    석(錫)○
    34世
    ○승(承)
    35世
    인(寅)○
    36世
    ○훈(勳)
    37世
    시(時)○
    38世
    ○현(鉉)
    39世
    태(泰)○
    40世
    -
    41世
    -
    42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4世孫은 23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개풍
    덕수(德水)는 황해도 개풍군(開豊郡)에 속해 있던 옛 지명이다. 고구려 때는 덕물현(德勿縣) 또는 인물현(仁物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덕수현(德水縣)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강음(江陰)·정주(定州) 등과 함께 개성현으로 편입되었다. 1389년(공양왕 1)에 덕수현에 감무를 두었다. 1442년(세종 24)에는 해풍군(海豊郡)과 병합하여 풍덕군이 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개성군에 편입되었다가 1930년 개성군의 송도면이 개성부로 승격되면서 기존의 개성군 일부가 풍덕군과 통합되어 개풍군(開豊郡)으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덕수이씨는
    1985년에는 10,580가구 43,505명, 2000년에는 15,711가구 50,48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8,51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