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벽진이씨(碧珍李氏)
    유래
     시조 : 이총언(李忩言)
    시조 이총언(李忩言)은 신라 말에 벽진군(碧珍郡) 태수(太守)를 지냈다.

    이총언이 61세 때 고려 태조 왕건(王建)을 도와 고려를 세우는데 큰 공을 세워 삼중대광(三重大匡) 개국원훈(開國元勳) 벽진장군(碧珍將軍) 올랐고 벽진백(碧珍伯)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벽진으로 하였다.

    -매년 10월 3일 경북 성주군 벽진면 해평동 경수당(敬收堂)에서 제향을 한다.
    인물
    시조 이총언의 아들 이영(李永)은 18세의 나이로 왕건을 따라 삼국을 정복, 고려개국에 공을 세워 대제학(大提學)에 올랐고, 손자 이방회(李芳淮)는 추밀원사, 증손 이경석(李慶錫)은 평장사에 이르는등 초기부터 명문거족으로 번성한 벽진이씨는 후에도 많은 인물들을 배출해냈다.

    고려시대의 인물로는 이회(李會), 이실(李實), 이극송(李克松), 이옹(李雍)등을 꼽는데 이중 이극송은 고려 고종23년 명경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청렴강직한 청백리로 판삼사사의 벼슬에 올라 "맑고 깨끗하여 아무티가 없는 정신을 지녔다" 하여 고종이 친히 영옥(永玉)이라는 호를 내렸다.
    특히 시조의 10세손 이옹의 아들 4 형제중 장남 이견간(李堅幹)은 고려 충열, 충선, 충숙왕등 3왕대에 걸쳐 벼슬이 진현관대제학에 이르렀다.

    조선시대에 불사이군의 절의를 지킨 이맹전(李孟專) 들어 이씨가문의 충의와 절개의 맥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사람이다. 세종때 친시문과에 급제 사간원 정언등에 오른 그는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찬탈을 꾀하는데 분개, 벼슬을 버리고 고향 선산으로 내려가 거짓으로 눈멀고 귀먹었다며 초야에 묻혔다.
    김종직의 문인으로 성종때 대사성에 이른 이철균(李鐵均), 병자호란때 강화에서 자결한 이상길(李尙吉)은 높은학문과 충의의 인물로 이씨가문을 빛냈다.
    또한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사람으로 중종때 대사헌, 병조판서를 지낸 이장곤(李長坤), 조선말기의 거유(巨儒) 이항로(李恒老) 등이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정주(李挺周, 1673 癸丑生) : 문과(文科) 숙종34년(1708)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언영(李彦英, 1568 戊辰生) : 문과(文科) 선조36년(1603)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명겸(李鳴謙) : 문과(文科) 세종5년(1423) 식년시 병과(丙科)
     이약동(李約東, 1416 丙申生) : 문과(文科) 문종1년(1451) 증광시 정과(丁科)
     이우면(李愚冕, 1850 庚戌生) : 문과(文科) 고종18년(1881) 별시 병과(丙科)
     이세춘(李世瑃, 1681 辛酉生) : 문과(文科) 경종3년(1723) 증광시 병과(丙科)
     이극생(李克生, 1735 乙卯生) : 문과(文科) 영조41년(1765) 식년시 병과(丙科)
     이정욱(李挺郁, 1682 壬戌生) : 문과(文科) 영조1년(1725) 증광시 병과(丙科)
     이경(李坰, 1580 庚辰生) : 문과(文科) 인조1년(1623) 개시 병과(丙科)
     이정연(李挺淵, 1673 癸丑生) : 문과(文科) 숙종38년(1712) 정시 병과(丙科)
    등 모두 6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2명, 생원진사시 18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북 성주군 초전면 월곡 1리 속칭 홈실(명곡)마을.
    팔작(八作) 지붕의 골기왓집이 처마를 맞대고 43가구가 옹기종기 모여사는 고풍스런 마을이다.
    43가구중 5 가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벽진이씨 한 성으로 8백여년전 고려인종때 금자광록대부이던 입향조 이방화(李芳華)가 당나라 풍수지리의 명당을 찾아 이곳 곡성산 아래터를 잡았다.
    그러나 누대에 5형제가 태어나 고관대작의 벼슬에 오르면 마을을 떠나라는 유언으로 불과 8대를 살다 뿔뿔이 흩어졌다 한다. 5 형제가 벼슬길에 오르고 숙질간에 8판서가 나와 명문대가로 번창했으나 곧 쇠운을 맞았던것이다.
    2백여년 후 후손들이 가문을 일으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족보발간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1리 속칭 홈실(명곡)마을
    - 경상북도 영천군
    - 경상북도 청송군
    - 경상북도 구미시 일원
    - 경상남도 창녕군
    - 경상남도 밀양군 일원
    - 전라북도 남원군 덕과면 사율리
    -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용암리
    항렬자
    31世
    ○일(一)
    ○후(厚)
    ○화(和)
    32世
    원(元)○
    운(雲)○
    우(愚)○
    노(魯)○
    33世
    ○언(彦)
    ○두(斗)
    ○중(中)
    ○기(基)
    34世
    헌(憲)○
    선(善)○
    종(鍾)○
    석(錫)○
    택(澤)○
    호(鎬)○
    35世
    ○원(源)
    ○수(洙)
    ○순(淳)
    ○하(河)
    ○오(五)
    ○오(吾)
    36世
    수(秀)○
    근(根)○
    상(相)○
    병(柄)○
    종(種)○
    상(商)○
    장(章)○
    37世
    ○하(夏)
    ○희(熙)
    ○환(煥)
    ○섭(燮)
    ○택(宅)
    ○세(世)
    38世
    규(圭)○
    정(廷)○
    중(重)○
    동(垌)○
    치(致)○
    익(益)○
    의(義)○
    39世
    ○흠(欽)
    ○욱(旭)
    ○수(銖)
    ○현(鉉)
    ○의(義)
    40世
    태(泰)○
    영(泳)○
    연(淵)○
    호(浩)○
    한(漢)○
    41世
    ○영(榮)
    ○표(杓)
    ○목(穆)
    ○식(植)
    ○수(秀)
    42世
    휘(輝)○
    용(容)○
    충(忠)○
    광(光)○
    43世
    ○주(周)
    ○채(埰)
    ○원(遠)
    ○균(均)
    44世
    진(鎭)○
    령(寧)○
    용(鏞)○
    록(錄)○
    45世
    ○택(澤)
    ○식(湜)
    ○락(洛)
    ○홍(洪)
    46世
    병(秉)○
    동(東)○
    정(楨)○
    락(樂)○
    47世
    ○렬(烈)
    ○엽(燁)
    ○훈(熏)
    ○찬(燦)
    48世
    치(致)○
    돈(墩)○
    배(培)○
    강(堈)○
    49世
    ○용(鎔)
    ○정(鉦)
    ○일(鎰)
    ○은(銀)
    50世
    준(浚)○
    한(漢)○
    해(海)○
    철(澈)○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2世孫은 31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
    벽진(碧珍)은 경상북도 성주군(星州郡) 지역의 옛 행정구역이다. 가야연맹의 하나인 벽진가야국(碧珍伽倻國)을 신라가 멸망시키고 벽진군(碧珍郡) 또는 본피현(本彼縣)이라 하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안현(新安縣)으로 개칭하여 성산군(星山郡)에 속하게 하였고, 후에 벽진군으로 개칭하여 치소를 지금의 성주읍에 두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경산부(京山府)로 승격했으며, 1018년(현종 9)에는 고령군 등을 속군으로 삼는 대읍이 되었다. 1295년(충렬왕 21)에 흥안도호부(興安都護府), 1308년(충렬왕 34)에 성주목으로 승격했으며, 1310년(충선왕 2)에는 다시 경산부로 강등되었다. 1614년(광해군 6) 무렵 잠시 신안현으로 개칭, 강등되기도 했으나 1895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개편된 이후 성주군 벽진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벽진이씨는
    1985년에는 19,807가구 80,662명, 2000년에는 28,733가구 91,90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9,267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 금릉공파(金陵公派) : 참판공파(參判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좌랑공파(佐郞公派), 첨지공파(僉知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
    - 문정공파(文靖公派) : 화수헌공파(花樹軒公派), 송암공파(松庵公派), 진조당공파(眞操堂公派)
    - 산화공파(山花公派) : 정헌공파(正獻公派), 판서공파(判書公派), 감무공파(監務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여은공파(麗隱公派), 도정공파(都正公派)
    - 지후대장군공파(祗侯大將軍公派) : 전서공파(典書公派),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 평정공파(平靖公派), 감정공파(監正公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