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봉산이씨(鳳山李氏)
    유래
     시조 : 이수(李隨)
    시조 이수(李隨)는 고려 공민왕 23년 태어나 조선 태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 등을 역임하고 모친상을 당하자 사직했다가 후에 이조(吏曺)와 병조판서(兵曺判書)에 이르렀으나 취중에 말에서 떨어져 사망했다.
    문장과 덕행이 높아 충령대군(忠寧大君. 세종)의 사부가 되었고 봉산 토지를 하사받아 후손들이 그곳에 살면서 본관을 봉산으로 하고 있다.
    인물
    조선시대에 지평(持平)을 지낸 이균종(李龜從)을 비롯하여 호조 좌랑(戶曺佐郞) 이서종(李筮從), 현령(縣令) 이즙(李楫), 부사(府使) 이복종(李福從), 참봉(參奉) 이길종(李吉從), 병마사(兵馬使) 이팽구(李彭丘), 판윤(判尹) 이탄(李坦), 군자감정(軍資監正) 이숭조(李崇祚), 선전관(宣傳官) 이덕(李德), 부사과(副司果) 이계한(李繼漢), 우후(虞候) 이질, 이돈,현감 이두명(李斗明), 판관(判官) 이귀서(李貴恕)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로 꼽힌다.
    그밖에 판관에 오른 이석재(李碩梓), 참봉(參奉) 이수생(李秀生), 참판(參判) 이익기(李翊奇), 총관 이연준(李延俊), 오위장(五衛將) 이학종(李學從), 돈영부도정(敦寧府都正) 이영욱(李永旭) 등의 인물과
    또 효자로 이름을 날렸던 이응열(李應說), 이종함(李宗涵), 이준일(李俊一), 이병관, 이덕성(李德成) 등의 이름이 전해온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봉구(李鳳九, 1841 辛丑生) : 문과(文科) 고종19년(1882) 별시 병과(丙科)
     이수(李隨) : 문과(文科) 태종14년(1414) 친시 을과(乙科)
     이익룡(李翊龍, 1866 丙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등외() 장원급제
     이익기(李翊奇, 180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등외() 장원급제
     이학구(李鶴九, 1853 癸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식년시 삼등(三等)
     이석봉(李錫鳳, 1659 己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5년(1689) 증광시 삼등(三等)
     이관일(李貫一, 1607 丁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7년(1639) 식년시 삼등(三等)
     이일(李○)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0년(1525) 식년시 이등(二等)
     이엽(李燁, 1603 癸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1년(1633)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생원진사시 7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전북 정읍군 정주읍
    -전북 순창군 복흥면 대방리
    -전북 정읍군 북면 일원
    -전남 장성군 북이면 만무리
    -경남 거창군 태양면 죽림리
    -황해도 평산군 세곡면
    -평남 대동군 부산면 하삼리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봉산
    봉산(鳳山)은 황해도 은파군과 봉산군 지역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 휴암군(鵂嵓郡) 또는 조파의(租坡衣)·휴류성(鵂鶹城) 등으로 불리었다. 신라 때에는 서암군(栖巖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봉주(鳳州)로 개칭하여 방어사(防禦使)를 두었으나 현종 때 폐하고 황주(黃州)에 속하게 하였다. 충렬왕 때에 봉양군(鳳陽郡)으로 고쳐 지사(知事)를 두었다가 후에 다시 봉주로 개칭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봉산군으로 고쳤고, 1947년에 사리원면이 사리원시로 승격하면서 봉산군에서 분리되었다. 1982년 10월에는 해서리가 사리원시에 포함되는 대신 은파군의 청룡리가 봉산군에 이관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봉산이씨는
    1985년에는 1,523가구 6,600명, 2000년에는 2,284가구 7,38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69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