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사천이씨(泗川李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정(李楨, 1512 壬申生) : 문과(文科) 중종31년(153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익지(李益之) : 문과(文科) 성종3년(1472) 춘당대시 병과(丙科)
이명석(李明石)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예종1년(1469) 증광시 삼등(三等)
이붕(李鵬)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6년(1531) 식년시 이등(二等)
이용장(李龍章, 1701 辛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23년(1747) 식년시 이등(二等)
이두(李斗)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3년(1528) 식년시 이등(二等)
이호변(李虎變, 1549 己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3년(1570) 식년시 이등(二等)
이을지(李乙枝)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7년(1552) 식년시 일등(一等)
이호변(李虎變, 1549 己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3년(1570) 식년시 삼등(三等)
이대일(李大一, 1579 己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38년(1605)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1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생원진사시 10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사천
사천(泗川)은 경상남도 사천시 일원의 옛 행정구역명으로 신라시대에 사물현(史勿縣)이라 불리우다가 757년(경덕왕 16)에는 사수현(泗水縣)으로 불리었이고 고성군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사주(泗州)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진주의 관할이 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사천현으로 개칭되었다. 동성(東城)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에서 경상남도 사천군으로 이관되었고, 1896년에 경상남도 사천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곤양군이 사천에 폐합되었다. 1925년 읍내면이 사천면으로 개칭되었고 1956년에 읍으로 승격했으며 1995년 사천군과 삼천포시가 통합되어 사천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사천이씨는
1985년에는 1,701가구 7,098명, 2000년에는 2,546가구 8,07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61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