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신평이씨(新平李氏)
유래
시조 : 이덕명(李德明)
시조 이덕명(李德明)은 백제 때 신평호장(新平戶長)을 지낸 이인수(李仁壽)의 후손으로 도중에 후손에 대한 기록이 전해지지 않아 고려시대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한 이덕명을 시조로 하고 있다. - 이덕명의 묘소는 충남 당진군 송악면 오곡리에 있고 음력 10월 1일에 향사한다. - 참고로 담양이씨(潭陽李氏)도 이덕명(李德明)을 시조로 모시고 있다. 인물
9세손인 이첨은 1368년 문과에 급제, 가문의 초석을 다졌는데, 의정부사(議政府事)를 거쳐 조선개국후 대제학(大提學)에 올랐다. 그는 문장과 회화에 능하였고 저서에 "저생전(楮生傳)" "삼국사략(三國史略)"이 있다.
조선 중종 때의 이천계(李天啓)는 1537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여 사인(舍人)을 거쳐 장령(掌令)을 지냈고, 명종때의 이거는 1553년 문과급제하여 검열(檢閱), 승문원박사(承文院博士), 수찬(修撰), 사간(司諫), 직강(直 講) 등을 거쳐 1599년 강화부사가 되었다. 그후 형조참의(刑曺參議),동지중추부사(同知中 樞府事)를 거쳐 경기도관찰사에 이르렀다. 이가종(李可種)은 태종때의 인물로서 1405년 봉사(奉事)로 있을 때 태종의 총애를 받아 가종(可種)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세종때의 이상(李祥)은 효행이 지극하여 세종이 정문(旌門)을 특명하였고, 7세 때 왜관에게 10년간 납치되었다가 환국하여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그리고 인조때의 이원로(李元老)는 1635년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으로 신양군(新陽君)에 봉해졌고, 녹권(祿券)을 받았으며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또,이세순(李世純)은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권신 이궁을 소척(疏斥)하다가 은퇴하여 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그리고 이훤(李萱), 이길유(李吉儒),이흠석(李欽碩)은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호(李○, 1596 丙申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증광시 을과(乙科)
이거(李○, 1532 壬辰生) : 문과(文科) 명종8년(1553) 친시 병과(丙科) 이천계(李天啓) : 문과(文科) 중종32년(1537) 식년시 병과(丙科) 이세건(李世健) : 문과(文科) 중종20년(1525) 식년시 병과(丙科) 이진(李○, 1590 庚寅生) : 문과(文科) 인조13년(1635) 증광시 병과(丙科) 이동식(李東植, 1629 己巳生) : 문과(文科) 숙종1년(1675) 증광시 병과(丙科) 이간(李幹) : 문과(文科) 단종1년(1453) 증광시 정과(丁科) 이계종(李季宗) : 문과(文科) 연산군12년(1506) 별시 정과(丁科) 이정필(李廷弼, 1650 庚寅生) : 무과(武科) 숙종7년(1681) 식년시 을과(乙科) 이심(李○, 1626 丙寅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4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8명, 무과 16명, 생원진사시 25명) 세거지
충북 보은군, 청원군, 괴산군, 청주시 등으로, 보은군 내북면 산성리가 가장 대표적인 집성촌이라 할 수 있다. 충남 지역에는 홍성군,예산군,서산군,청양군,아산군,연기군,당진군 등에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분포도도 고른 편이다. 경기도 장단군 강상면 마상리와 용인군 내서면 주북리에도 일부의 신평이씨가 살고 있고, 전북 김제군 백산면 상정리, 완주군 조촌면 동산리에도 일부가 살고 있으며 경북 상주군 외서면 이촌리에도 집성촌이 있다.
항렬자
괴당공파, 문정공파, 문안공파, 사재공파, 판서공파
사인공파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
신평(新平)은 충청남도 홍성군(洪城郡)에 속해 있던 옛 지명이다. 본래 백제 사평현(沙平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평으로 고쳐서 혜성(槥城: 沔川)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 초인 태조 대에 이곳에 운주(運州)를 설치하고,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도단련사(都團練使)를 파견하였다. 1018년(현종 9) 홍주(洪州)에 예속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는 왕사(王師) 보우(普愚)의 고향이라 하여 홍주목으로 승격되었다가, 1368년에 다시 홍주로 강등되었으며, 1371년에 다시 홍주목이 되어 조선시대 말까지 유지되었다. 조선 세종 때 진(鎭)을 두었으며 뒤에 홍양현(洪陽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914년 홍성군(洪城郡)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면천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이웃한 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신평면으로 개칭하였고 당진군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충청남도 당진군 신평면 지역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신평이씨는
1985년에는 6,983가구 29,281명, 2000년에는 10,241가구 33,18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9,872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