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안산이씨(安山李氏, 경기계)
    유래
     시조 : 이인수(李仁守)
    시조 이인수(李仁守)는 조선시대에 별사위(別寺衛)를 지냈다.
    그는 연안이씨로 태자첨사(太子詹事)를 지낸 이습홍(李襲洪)의 10세손이라고 한다.
    이인수의 아버지 이근수(李根粹)가 지화(池和)의 모함으로 창원에 유배되었다가 이근건(李根健)의 아들 이인문(李仁文)의 상소로 풀려난 뒤, 이천으로 이사하여 살았다고 한다.
    그 뒤 이근수의 아들 이인수가 안산군에 거주하면서 연안이씨에서 분관하여 본관을 안산으로 하고 있다.

    시조의 묘소는 서울 은평구 진관외동에 있으며 매년 3월 30일 향사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학연(李學淵, 1755 乙亥生) : 문과(文科) 정조19년(1795) 식년시 병과(丙科)
     이명(李命, 1613 癸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봉학(李奉鶴, 1596 丙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항백(李恒白, 1646 丙戌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이득천(李得天, 1609 己酉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귀일(李貴一, 1607 丁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승로(李承老,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광선(李光善, 1653 癸巳生) : 무과(武科) 숙종10년(1684) 정시 병과(丙科)
     이곤화(李鯤化, 1708 戊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2년(1726) 식년시 이등(二等)
     이성은(李聖誾, 1753 癸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9년(1773)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7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7명, 생원진사시 5명, 역과 21명, 의과 22명, 음양과 15명, 주학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안산
    안산(安山)은 경기도 시흥군(始興郡) 수암면(秀巖面)·군자면(君子面) 및 화성군(華城郡) 반월면(半月面) 일부 지역의 옛 이름이다. 고구려 때 장구현(獐口縣: 古斯也忽次)이라 불리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장구군(獐口郡)으로 개칭되어 한주(漢州: 廣州)의 영현이 되었다. 이 때 이포현(梨浦縣)을 영현으로 관장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안산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018년(현종 9)에는 수주(水州: 水原)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후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308년(충렬왕 34)에 군으로 승격되었다. 조선시대에도 안산군을 유지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 안산군, 1896년에 경기도 안산군이 되었다. 1907년의 월경지 정리에 의해 광주의 두입지였던 성곶면·월곡면·북방면이 안산군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안산군이 폐지되었고, 군내면·인화면·초산면이 수암면으로, 마유면·대월면·와리면이 군자면으로 통합되어 시흥군에 병합되고, 월곡면·북방면·성곶면은 반월면으로 통합되어 화성군(화성시)에 편입되었다. 1976년에 경기도 반월도시개발 지원사업소가, 1979년에 수암면·군자면의 13개리와 화성군 반월면 일부에 경기도 반월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6년에 반월출장소가 안산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화성군 반월면의 건건리·사사리·팔곡일리·심중리와 시흥시 안산동, 옹진군 대부면이 안산시에 대부동으로 편입되어 시역이 대폭 확장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안산이씨는
    1985년에는 1,224가구 4,973명, 2000년에는 1,184가구 3,66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26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