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안악이씨(安岳李氏)
    유래
     시조 : 이견(李堅)
    시조는 이견(李堅)은 고려 공민왕때 상장군(上將軍)을 지냈다.
    그는 1360년(고려 공민왕 9년) 홍건적이 의주(義州), 정주(定州), 서경(西京) 등지에 침입했을 때 도원사(都元師) 이방실(李芳實)을 도와 개성부사 신부와 함께 상장군으로 출전하여 대승을 거두고 함종(咸從)전투에서 순절, 공신이 되었다.
    이견의 조상에 대해서는 여러설이 있으나 실존하는 확실한 증거가 없으므로 인정하지 않는다.

    -시조 이견은 경남 의령군 궁면 지동리 일원재 설단에 봉향중이다.
    인물
    이견의 아들 정림(挺林)이 황해도(黃海道) 안악지방에 뿌리를 내리고 정착세거 하면서 가세를 일으켰다.
    3세 이의만(李義萬)은 고려말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며 태조 이성계를 반대한 결과 화를 입어 창원으로 피하여 세거지를 이루었다.
    4세인 두형재 이흥부(李興富), 이흥인(李興仁)은 각각 이흥부는 관지병마사(官知兵馬使)로 밀성에서 왜구를 격멸하고 대승을 이루었고, 이흥인 역시 관지병마사로 진주 만호, 구라에 침범한 왜구를 격멸하고 사절, 큰공을 세웠다.
    임진왜란시 이운기(李雲起)의 동생 이운장(李雲長)은 의병장으로 정암진에서 왜적을 섬멸하고 전사하여 의령군민성금으로 정암진 전사지에 "순절전적비를 건립했다.
    이잠(李潛)은 진주성을 사수하다가 왜적과 격전후 순절하여 진주 창열사에 위패를 모셨다.

    이현우(李鉉祐)는 독립사상으로 왜인을 배격하다가 계미년 7월 5일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투옥중 심한구타에도 대한민국만세를 부르짓다가 을유년 8 월15일 출옥하였으나 심한 통증으로 52세로 별세했다.
    또한 구한말 개성 이기호(李箕浩)의 아들로 태어나 6.25때 운봉(雲峰) 비행기사고로 순직한 이용문(李龍文)장군이 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평(李枰) : 문과(文科) 세조14년(1468) 별시 병과(丙科)
     이희순(李希舜) : 문과(文科) 성종23년(1492) 식년시 병과(丙科)
     이현(李○, 1654 甲午生) : 문과(文科) 숙종20년(1694) 별시 병과(丙科)
     이현(李○) : 문과(文科) 숙종23년(1697) 중시 병과(丙科)
     이경룡(李慶龍, 1608 戊申生) : 문과(文科) 인조20년(1642) 식년시 병과(丙科)
     이정주(李廷周)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이애경(李愛敬,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을과(乙科)
     이정신(李廷信)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이영전(李永傳, 1646 丙戌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이신익(李信○, 1627 丁卯生) : 무과(武科) 현종3년(1662)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2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명, 무과 11명, 생원진사시 12명, 역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3세 이의만의 후손이 670여년간 경남 의령군에 집성촌을 이루고 살고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안악
    안악(安岳)은 황해도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고구려 때에는 양악군(楊岳郡)이라 했고 신라 때에는 장구진(長口鎭)에 속하였다. 고려 초에 안악으로 개칭되어 1018년(현종 9) 풍주(豊州)에 편입되었다가 1106년(예종 1) 감무를 두었다. 1348년(충목왕 4)에 군으로 승격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589년(선조 22)에 잠시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608년(선조 41)에 다시 군이 되었다. 8·15해방 당시에는 안악읍·대원면·용순면·은흥면·대행면·서하면·안곡면·용문면·문산면 등 1개읍 8개면 113개리였다. 북한은 1952년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안악군의 일부를 은천군으로 분리시켰고, 신천군의 일부를 넘겨받아 안악군의 영역을 조정하였다. 1954년에 재령군의 신환포리 일부가 덕성리로 편입되었고, 남정리 일부를 평정리로, 구와리 일부를 복사리로, 대추리 일부를 굴산리로, 노암리 일부를 한월리로 각각 편입시켰다. 1974년 에는 유설리 일부를 덕성리와 노암리에 편입시키고 나머지 유설리는 오국리와 통합시킨 후 유설리는 폐지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는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안악군이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안악이씨는
    1985년에는 1,980가구 7,973명, 2000년에는 2,961가구 9,50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2,31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