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이인덕(李仁德)
여흥이씨는 여주이씨(驪州李氏) 교위공파(校尉公派)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이존(李以存, 1609 己酉生) : 문과(文科) 인조17년(1639)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맹휴(李孟休, 1713 癸巳生) : 문과(文科) 영조18년(1742)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광헌(李光軒, 1531 辛卯生) : 문과(文科) 명종19년(156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성환(李星煥, 1689 己巳生) : 문과(文科) 숙종45년(1719)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동암(李東○, 1643 癸未生) : 문과(文科) 숙종12년(1686) 별시 병과(丙科)
이동욱(李東郁, 1646 丙戌生) : 문과(文科) 숙종2년(1676) 정시 을과(乙科)
이지천(李志賤, 1589 己丑生) : 문과(文科) 광해군11년(1619) 정시 병과(丙科)
이지완(李志完, 1575 乙亥生) : 문과(文科) 선조30년(1597) 정시 병과(丙科)
이구휴(李龜休, 1675 乙卯生) : 문과(文科) 영조3년(1727) 중시 을과(乙科)
이상홍(李尙弘, 1559 己未生) : 문과(文科) 선조17년(1584) 별시 을과(乙科)
등 모두 8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8명, 무과 6명, 생원진사시 16명, 역과 1명, 율과 2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여주
여흥(驪興)는 경기도 여주시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골내근현(骨乃斤縣)과 술천성(述川城)이 있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황효현(黃驍縣)으로 바뀌었고 기천군(沂川郡: 川寧縣, 述川城)의 관할에 들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황려현(黃驪縣: 黃利縣)으로 바뀌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원주에 영속되었다. 1257년(고종 44)에 영의현(永義縣)으로 개편되었고, 1305년(충렬왕 31)에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1388년(우왕 14)에 황려부(黃驪府)로 다시 승격하였다가 1389년(공양왕 1) 여흥군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401년(태종 1)에 음죽현(陰竹縣)의 북부를 편입하여 여흥부(驪興府)로 승격되면서 관할이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변경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도호부(都護府)가 설치되었고 1469년(예종 1)에 세종대왕 능인 영릉(英陵)을 왕대리(旺垈里)로 옮기면서 천령현(川寧縣)을 병합하여 여주목(驪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501년(연산군 7)에 여주목을 폐하고 충주부(忠州府)의 관할하에 두었다. 1895년(고종 32)에 충주부 여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여주군이 되었다. 여성(驪城)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관할 15개 면을 9개로 통합하였고, 1941년에 여주면이 여주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여흥이씨는
1985년에는 937가구 4,059명, 2000년에는 1,004가구 3,38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91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