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영천이씨(寧川李氏)
    유래
     시조 : 이능간(李凌幹)
    시조 이능간(李凌幹)의 호는 송헌(松軒)으로 남원에서 나서 1320년(고려 충숙왕 7년) 반전별감으로 원나라에서 왕을 토번(吐蕃)으로 유배시킬 때 왕을 호위하였고 왕이 죽자 재궁(梓宮)을 모시고 본국으로 돌아왔다. 1326년(충숙왕 13년) 지사사우상시(知司事右常侍)로 원나라가 고려를 없애고 성(省)을 두겠다는 조치가 있자 이를 중지시켜 면좌당(免左堂)이라는 액호(額號)를 사림(士林)으로부터 받았다.
    1332년(충혜왕 2년) 문하시중으로 있으면서 조적의 난을 평정하여 1등공신이 되고 영천부원군에 봉해짐으로써 본관을 영천으로 하였다.
    인물
    조선시대에 계중엽(季重燁)과 이부춘(李富春) 그리고 이상규(李尙奎)와 이재행, 이재흠(李在欽)과 이재성(李在誠) 등은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으며 이덕근(李德根)과 이복겸(李福謙)은 통정대부에 추증 되었다.
    이탕휴(李湯休)는 1392년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일생을 마쳤는데 현재 두문동서원에 제향되고 있다.
    이탕휴의 아들 이분(李芬)은 조선시대에 벼슬을 하지 말라는 아버지의 명에 따라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현금(玄琴)을 즐겨 곡을 지었다고 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재희(李在喜, 1874 甲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8년(1891) 증광시 삼등(三等)
     이필섭(李必燮, 1863 癸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8년(1891) 증광시 삼등(三等)
     이주섭(李周燮, 1861 辛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8년(1891)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생원진사시 3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전북 남원군 이백면 초촌리
    -전북 남원군 주천면 용담리
    -전남 구례군 마산면 사도리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남원
    영천(寧川)은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일원에 위치하며, 본래 백제의 고룡군(古龍郡)인데, 소정방(蘇定方)이 백제를 패망시키고, 대방주(帶方州)라 하여 일시 지배하였다. 후에 신라의 문무왕이 합병하고, 신문왕 때 소경(小京)을 두었으며 경덕왕 때 남원으로 고쳤으나, 여전히 소경이라 하였고, 고려에는 일시 대방이라 하였으나 남원부(南原府)로 지속되었다. 조선에 남원도호부(南原都護府)로서 1부 1군 9개현을 관할하였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남원군(南原郡)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천이씨는
    1985년에는 23,290가구 95,473명, 2000년에는 36,781가구 116,97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35,61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