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영천이씨(永川李氏)
유래
시조 : 이문한(李文漢)
시조 이문한(李文漢)은 알천 양산촌의 촌장 알평(경주이씨)의 후손으로 고려초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 이문한의 6세손 이극인(李克仁)의 후손에 대한 기록이 없으므로 영양(永陽. 영천의 다른이름)군에 봉해진 이대영(李大榮)을 중시조로 하는 파와 고려 때 영동정(領同正)을 지낸 이박를 1세조로 하는 파가 있다. 인물
조선시대에서 39명의 문과 급제자와 많은 명신과 학자를 배출하였다.
이종검(李宗儉)은 직제학(直提學) 이안직(李安直)의 아들로 세종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翰林), 직제학(直提學), 대사간(大司諫)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으며, 효행이 지극하여 조정에서 아호(雅號)를 효우당(孝友堂)으로 내렸다고 한다. 이이응(李吏膺)은 일찌기 문과에 급제하여 1400년 상장군으로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으로 영양군에 봉해졌으며 좌부대언(左副代言)을 거쳐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 예조판서(禮曺判書), 호조판서(戶曺判書),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병조판서(兵曺判書)를 지냈다. 태종의 척불정책(斥佛政策)을 도왔고, 1403년 우대언(右代言)으로 계미자주조(癸未字鑄造)에 공이컸다.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는 영천이씨가 배출한 당대의 명신이며 대표적 학자였다. 그는 현감(縣監) 이흠(李欽)의 아들로서 연산군 4년 문과에 급제하고 정언(正言), 지평(持平) 등을 거쳐 여러 고을의 목사(牧使), 부사(府使) 등을 지내면서 선정을 베풀어 명망이 높았으며 뒤에 부제학(副提學), 호조참판(戶曺參判),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使)에 이르러 청백리에도 녹선되었다. 그는 자연을 노래한 시인으로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농암가(聾巖歌)", "춘민곡(春珉曲)" 등의 시조와 "어부가(魚父歌)"를 개작(改作)했고 "농암문집(聾巖文集)"을 남겼다. 그의 아들 매암(梅巖) 이숙량(李淑梁)은 이퇴계(李退溪) 문하의 성리학자로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당대에 이름을 떨쳤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재영(李再榮) : 문과(文科) 선조32년(1599)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숙종(李淑琮) : 문과(文科) 중종29년(1534) 별시 을과(乙科) 이승손(李承孫) : 문과(文科) 세종2년(1420) 식년시 병과(丙科) 이재영(李再榮) : 문과(文科) 광해군7년(1615) 알성시 을과(乙科) 이정기(李廷機, 1613 癸丑生) : 문과(文科) 인조26년(1648) 식년시 병과(丙科) 이린(李○) : 문과(文科) 명종4년(1549) 식년시 병과(丙科) 이광준(李光俊) : 문과(文科) 명종17년(1562) 별시 병과(丙科) 이종검(李宗儉) : 문과(文科) 세종11년(1429)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이시헌(李時獻, 1771 辛卯生) : 문과(文科) 순조10년(1810) 식년시 병과(丙科) 이안직(李安直) : 문과(文科) 정종1년(1399)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등 모두 15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4명, 무과 25명, 생원진사시 83명, 역과 6명, 의과 2명, 음양과 1명, 율과 3명, 주학 2명) 세거지
-경상북도 의성군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
영천(永川)은 경상북도 영천시 일원의 옛 지명으로 고대 골벌국(骨伐國)이었던 것을 초기 신라 때에는 절야화군(切也火郡)이라 하였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였다. 925년(경애왕 2)에 고울부(高鬱府)로 고쳐 불렀고, 도동현(道同縣)·임천현(臨川縣)·맹백현·이지현(梨旨縣) 등의 현들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도동·임천현을 합하여 영주군(永州郡)이라고 불렀으며, 995년(성종 14)에 자사(刺史)를 파견하였다. 1018년(현종 9)에 경주(慶州)에 편입되었다가, 1172(명종 2)에는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고, 후에 주(州)로 승격되었다. 1414년(태종 14) 영천군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영천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상북도 영천군이 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신녕군(新寧郡)이 영천군으로 폐합되어 영천면을 신설하였다. 1937년 영천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1년에는 영천읍이 시로 분리 승격했고, 1995년 영천군을 영천시에 통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천이씨는
1985년에는 2,401가구 9,772명, 2000년에는 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0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