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창원구씨(昌原具氏)
    유래
     시조 : 구성길(仇成吉)
    구씨는 원래 구(仇)씨로서 중국 송나라 대부 구목의 후손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 귀화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시조 구성길(仇成吉)이 945년(혜종 2년) 찬성사(贊成事)를 지냈으며 서경(西京)에서 공을 세워 의창군에 봉해지고 가세를 일으켰으므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하고 본관을 창원으로 하였다.
    그후의 내력은 알수 업으나 조선 세종때 홍문관 직제학을 지낸 구종길을 중시조로 하였으며, '정조실록'과 승정일기'에 의하면 1791년(정조 15년)에 구(具)씨로 사성을 받아 성을 바꾸었다. 그후 1797년 부터의 내력은 알 수 없으며 1924년 족보를 만들면서 일부는 능주, 회산으로 본관을 바꾸었으나, 같은 혈족으로 여긴다.
    항렬자
    17世
    동(東)○
    18世
    ○환(煥)
    ○훈(熏)
    19世
    재(在)○
    재(載)○
    20世
    ○진(鎭)
    ○옥(鈺)
    21世
    영(永)○
    22世
    ○근(根)
    23世
    병(炳)○
    24世
    ○효(孝)
    25世
    종(鍾)○
    26世
    ○수(洙)
    27世
    상(相)○
    28世
    ○렬(烈)
    29世
    시(時)○
    30世
    ○현(鉉)
    31世
    연(演)○
    32世
    ○업(業)
    33世
    형(炯)○
    34世
    ○균(均)
    35世
    -
    3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8世孫은 1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
    창원(昌原)은 경상남도 남쪽에 위치하는 산업도시이며 도청소재지이다. 고대에는 금관가야(金官伽倻)에 속했으나 신라가 세력을 확장함에 따라 굴자군(屈自郡)이 설치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의안군(義安郡)으로 이름을 바꾸고, 합포현(合浦縣: 馬山)·웅신현(熊神縣: 熊川)·칠제현(漆隄縣: 漆原)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금주(金州: 金海)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뒤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되었다. 1274년(원종 15)과 1281년(충렬왕 7)에 원나라와 고려 연합군의 일본 정벌 때 창원지방은 합포를 중심으로 연합군의 기지가 되었다. 그 공으로 1282년에 의안군이 의창현(義昌縣)으로, 합포현이 회원현(會原縣)으로 승격되었다. 1408년(태종 8)에 회원현을 병합하여 창원부(昌原府)로 승격되고 경상우도 병마절도사영이 설치되었으며, 1413년에는 창원도호부(昌原都護府)가 되었다. 임진왜란 직후인 1601년(선조 34)에 창원대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603년(선조 36)에 경상우도 병마절도사영이 진주로 옮겨갔다. 1661(현종 2)~70년(현종 11)에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창원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상남도 창원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창원군에 다시 편입되었다. 1980년에 마산시 의창동을 편입하여 창원시로 분리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창원구씨는
    1985년에는 5,056가구 22,127명, 2000년에는 4,391가구 14,03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3,33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