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예안이씨(禮安李氏)
    유래
     시조 : 이혼(李混)
    시조 이혼(李混)은 고려 태조 때 삼한개국익찬공신(三韓開國翊贊功臣)에 오른 전의이씨 시조 이도(李棹)의 7세손 이천(李仟)의 3아들 중 2째 아들이다. 이혼은 고려 원종 때 등제하여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예안백(禮安伯) 에 봉해졌다.

    이혼의 손자 이익(李翊)이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으로 예안군에 봉해지면서 전의이씨에서 분관하여 본관을 예안으로 했다.

    -묘소는 충남 연기군 전의면 유천리에 있으며 매년 3월과 10월에 향사한다.
    인물
    6세손인 이천은 조선시대의 인물로서 1402년 무과에 급제, 충청도병마절도사, 공조참판을 지냈고,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가 되어 갑인자(甲寅字)를 만들어 인쇄술의 발달에 공헌했다. 그는 1438년 호조판서가 되어 과학발전에 공헌하였고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에 이르러 궤장을 하사받았다.
    이훤은 1525년 사마시에 합격, 대사간(大司諫), 부제학(副提學)을 거쳐 이조참판, 형조판서에 이르렀고 1564년에 좌의정이 되었는데 명종 때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선조때의 이공(李珙)은 1573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으나 관직을 사퇴, 학문에만 정진했고,
    이경용(李慶龍)은 인조 때 병마절제사를 지냈으며 이경정(李慶禎)은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지냈다.
    이유장(李惟樟)은 1660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익찬(翊贊)을 지냈는데, 송나라의 여러 서적과 주자의 예론(禮論), 이황의 주장 등을 절충하여 독자적인 이론을 수립하였다.
    이간(李柬)은 숙종때의 인물로서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인물동성론(人物同性論)을 학문의 근본으로 하였고, 그의 학설을 지지하는 추종자들이 1파를 이루고 각론을 형성하였다.
    이천본(李天本)은 고종때에 효성으로 천거되어 조정에서 천심효자(天心孝子)라 칭하고 포상하였으며, 이용덕(李用悳), 이식(李埴) 등도 효성이 지극하여 칭송이 자자하였다.
    구한말의 이준영(李準永)은 삼봉산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옥사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거(李○) : 문과(文科) 중종31년(1536) 별시 을과(乙科)
     이옹(李雍, 1534 甲午生) : 문과(文科) 선조2년(1569) 알성시 을과(乙科)
     이경유(李敬裕, 1747 丁卯生) : 문과(文科) 영조50년(1774) 식년시 병과(丙科)
     이영혐(李英○, 1613 癸丑生) : 문과(文科) 현종1년(1660) 식년시 병과(丙科)
     이도(李蹈) : 문과(文科) 태종1년(1401) 증광시 동진사(同進士)
     이창(李○, 1641 辛巳生) : 문과(文科) 숙종7년(1681) 식년시 병과(丙科)
     이성렬(李聖烈, 1865 乙丑生) : 문과(文科) 고종25년(1888) 별시2 병과(丙科)
     이정렬(李貞烈, 1868 戊辰生) : 문과(文科) 고종28년(1891) 증광시 병과(丙科)
     이명(李蓂, 1496 丙辰生) : 문과(文科) 중종23년(1528) 식년시 병과(丙科)
     이영온(李英○, 1620 庚申生) : 문과(文科) 인조26년(1648)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8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2명, 무과 6명, 생원진사시 63명, 역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기도 연천군 군내면 차탄리
    -경기도 군남면 왕림리
    -경기도 포천군 소흘면 이가팔리
    -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천면리
    -충북 보은군 외속리면 구인리
    -충남 아산군 송악면 외암리
    -강원도 평강군 목전면 중삼리
    -강원도 평강군 목전면 정동리
    -강원도 평강군 유진면 상술리
    항렬자
    25世
    ○교(敎)
    26世
    호(鎬)○
    27世
    ○영(泳)
    28世
    종(種)○
    29世
    ○묵(默)
    30世
    규(奎)○
    31世
    ○재(宰)
    32世
    운(雲)○
    33世
    ○래(來)
    34世
    성(性)○
    35世
    ○원(遠)
    36世
    석(錫)○
    37世
    ○우(雨)
    38世
    영(榮)○
    39世
    ○용(容)
    40世
    기(基)○
    41世
    -
    42世
    -
    43世
    -
    4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6世孫은 2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
    예안(禮安)은 경상북도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 매곡현(買谷縣)이었다가, 신라 때 선곡현(善谷縣)으로 고치고, 고려 태조 때 예안군으로 승격하였다. 1413년(태종 13) 현으로 강등하였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다시 군이 되었으나,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안동군에 편입되었고 그 일부지방은 안동군 예안면(禮安面)으로 남아 있다. 1995년 안동군은 안동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예안이씨는
    1985년에는 2,724가구 11,284명, 2000년에는 4,492가구 14,35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7,74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