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용궁이씨(龍宮李氏)
    유래
     시조 : 이정식(李禎植)
    시조 이정식(李禎植)은 고려시대의 이물로 선조는 여주이씨였음이 전할 뿐, 사적에 대하여는 병화로 인해 전하는 바가 없다.
    다만 고려 충렬왕 때 이조판서를 지낸 이삼(李杉) 등 3형제가 있었는데 이중형(李仲兄)에게는 계대할 후손이 없어 이삼의 아들을 양자를 삼았다. 그후 이중형이 나이 50세에 상처를 하고 재혼하여 아들 3형제를 낳자 그를 양자에서 폐하였다. 이러한 사실이 관에 알려져 이백형(李伯兄)은 회령, 이중형은 곽산, 이삼은 강계로 유배되어 후손들이 유배되기 전의 세거지인 용궁을 본관으로 하였다.
    인물
    5세손인 이항덕(李恒德)은 조선시대에 서운관사(書雲觀事)를 지내면서 가문의 초석을 다졌고, 이극춘(李克春)은 좌수(座首), 이희증(李熙增)은 만호(萬戶)를 지내면서 가문이 번성하였으며, 이우청(李遇淸)은 절충장군(折衝將軍), 이태무(李泰茂), 이동환(李東煥), 이입선(李立善)은 가선대부(嘉善大夫)로서 자손들에게 많은 영양을 미쳤다.
    이경헌(李敬憲)은 참봉을 지냈고, 이신간(李信侃)은 첨절제사(僉節制使)를 지냈으며 이진명(李振明)은 부호군(副護軍)을 지냈다.
    이의양(李毅良)은 중군(中軍), 이형식(李炯植)은 만호(萬戶), 이기열은 절제사를 지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여흥(李麗興, 1650 庚寅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용궁이씨는 1930년 국세조사 자료에 의하면 평안북도에만 집성촌이 나타나 있다.
    평북의 위원군, 자성군, 후창군, 강계군 등이 바로 그곳 인데, 위원군 봉산면 향양동과 용봉동 일원, 위원군 위원면 송주동 등지에 운집되어 있다. 그리고 자성군 이평면 일원과 후창군 남신면 가산동에 일부가 있고, 강계군 강계읍 동부동, 강계읍 남부동, 강계읍 학구동, 곡하면 원동 등에 집성촌이 산재해 있다. 또, 초산군 일원에도 용궁이씨가 살고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
    용궁(龍宮)은 경상북도 예천군(醴泉郡)에 속한 지명으로 신라시대에 축산현(竺山縣)·원산현(園山縣)이라 하였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예천군의 영현이 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에 용주(龍州)로 승격되었다가, 목종 때 군으로 강등되었다. 1018년(현종 9)에 용궁으로 고쳐서 상주(尙州)에 편입하였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현으로 고쳤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안동부 용궁군이 되었고, 1896년 경상북도 용궁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폐지되어 신하면(申下面)은 의성군(義城郡)에, 나머지는 용궁면 등으로 분할되어 예천군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용궁이씨는
    1985년에는 160가구 653명, 2000년에는 207가구 67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5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