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우계이씨(羽溪李氏)
    유래
     시조 : 이양식(李陽植)
    시조 이양식(李陽植)은 이알평(閼平)의 48세손으로 고려시대에 중서사인(中書舍人)을 거쳐 좌복야(左僕射)를 지냈고, 아들 이순우(李純祐)는 의종 때 문과에 장원, 한림학사를 지냈으며, 경주에서 우계(강릉 속현)로 이사하였다.
    이양식(李陽植)의 5세손 이구(李球)에 이르러 경주이씨에서 분관하여 본관을 우계로 하였다.
    인물
    5세손인 이구는 고려시대에 예빈승동정(禮賓丞同正)을 지냈고, 이전은 무과에 급제하여 부사, 참판을 역임하였으며, 이성헌(李成憲)은 찰방(察訪)을 지냈다. 그리고, 이명남(李命男)은 예조참의를 지냈고, 이령은 수찬(修撰), 이경익(李慶益)은 정언(正言)을 지냈으며, 이경제(李慶濟)는 병조좌랑을 역임하였다.

    조선시대의 이복남(李福男)은 일찌기 무과에 급제하고, 1592년 나주판관을 거쳐 그후 전라방어사, 충청조방장, 남원부사,전라도병마절도사, 나주목사 등을 역임했다. 다시 전라도병마절도사가 되어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남원성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했다. 후에 좌찬성에 추증되었으며 남원의 충렬사에 제향되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성헌(李成憲) : 문과(文科) 명종15년(1560) 별시 병과(丙科)
     이여기(李汝機, 1554 甲寅生) : 문과(文科) 선조21년(1588) 식년시 병과(丙科)
     이재명(李在明, 1830 庚寅生) : 문과(文科) 고종14년(1877) 별시 병과(丙科)
     이징도(李徵道, 1652 壬辰生) : 문과(文科) 숙종36년(1710) 증광시 병과(丙科)
     이잠(李○, 1581 辛巳生) : 문과(文科) 선조39년(1606) 식년시 병과(丙科)
     이여빈(李汝○, 1556 丙辰生) : 문과(文科) 선조38년(1605) 증광시 병과(丙科)
     이서우(李瑞雨, 1633 癸酉生) : 문과(文科) 현종1년(1660) 증광시 갑과(甲科)
     이평(李坪, 1576 丙子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증광시 병과(丙科)
     이상우(李商雨, 1648 戊子生) : 문과(文科) 숙종7년(1681) 식년시 병과(丙科)
     이현상(李顯相, 1770 庚寅生) : 문과(文科) 정조24년(1800)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6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6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43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주로 경상북도와 황해도에 분포되어 있다.
    경북 지역에는 울진군, 달성군, 안동군, 영주군 등지에 비교적 널리 분포되어 있고 제일 분포도가 큰 곳은 달성군 성북면 일원으로 약 60가구가 살고 있다.
    황해도 지역에는 연백군 금산면 선암리 일원과 금천군 고동면 강정리 일대에 집성촌이 모여 있다.
    이외에 경기도 광주군 일원과 강원도 원성군 부론면 일원에도 우계이씨가 살고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강릉
    우계(羽溪)는 강원도 강릉시(江陵市) 남쪽에 위치했던 신라 때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우곡현(羽谷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 우계로 고쳐서 삼척군(三陟郡)에 속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강릉에 속하였다. 조선 세조 때 강릉대도호부에 진관이 설치되면서 우계면으로 직촌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우계이씨는
    1985년에는 3,390가구 14,191명, 2000년에는 4,689가구 14,61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9,58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