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원주이씨(原州李氏) - 신
유래
시조 : 이신우(李申佑)
시조 이신우(李申佑)는 신라의 전신인 진한 양산촌장 표암공 이알평(李謁平)의 원대손(遠代孫)이며 경주이씨 이거명(李居明)의 12세손이다. 그는 1004년(고려 목종 7년) 문과에 급제하여 문종 때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공을 세워 경흥군(慶興君)에 봉해졌다. 그로 인하여 후손들은 이신우(李伸佑)를 시조(始祖)로 받들고 경주이씨에서 분적하여 본관을 원주로 삼게 되었다. 참고로 원주이씨는 (신)원주이씨와 (구)원주이씨로 나뉘는데, (구)원주이씨는 중국에서 들어온 이춘계(李椿桂)의 후손이다. 인물
고려시대에 이작양(李作良)은 호장(戶長)을 지냈으며 이선경(李善景)은 사간(司諫), 이용평(李用平)은 승지 이충요는 병부상서, 이지연(李之衍)은 이부시랑(吏部侍郞), 이반계(李攀桂)는 예의상서(禮儀尙書)에 올랐다.
조선시대에 이영화(李英華)는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지냈고 이장(李樟)은 현령, 이남(李楠)은 현감을 역임했으며 이원해(李元海)는 군수, 이홍신(李弘信)은 목사, 이지훈(李之訓)은 군수, 이계정(李繼鄭)은 수군절도사를 지냈으며 이주와 이간(李幹)은 현감(縣監)을 역임하였고 이희효(李希孝)와 이견(李堅)은 군수, 이일찬(李一纘)은 부총관에 올랐으며 이시복(李時馥)은 부호군, 이봉로(李鳳老)는 절충장군(折衝將軍)을 역임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빈(李彬, 1597 丁酉生) : 문과(文科) 인조11년(1633) 식년시 병과(丙科)
이석조(李碩祚, 1625 乙丑生) : 문과(文科) 숙종7년(1681) 식년시 병과(丙科) 이만손(李萬孫) : 문과(文科) 연산군10년(1504) 식년시 병과(丙科) 이태섭(李泰燮, 1847 丁未生) : 문과(文科) 고종13년(1876) 식년시 병과(丙科) 이만림(李萬林, 1627 丁卯生) : 문과(文科) 현종14년(1673) 식년시 병과(丙科) 이언열(李彦烈, 1680 庚申生) : 문과(文科) 숙종40년(1714) 증광시 병과(丙科) 이면(李勉) : 문과(文科) 명종8년(1553) 별시 병과(丙科) 이유원(李惟源, 1600 庚子生) : 문과(文科) 인조17년(1639) 식년시 병과(丙科) 이태령(李泰齡, 1711 辛卯生) : 문과(文科) 영조20년(1744) 식년시 병과(丙科) 이조손(李兆孫) : 문과(文科) 중종19년(1524)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3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4명, 무과 48명, 생원진사시 63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세거지
-경기도 양평군 양평면, 평택군 포승면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원주군 호저면 -충청도 단양군 매포면, 단양군 적성면 -전라도 강진군 성전면, 해남군 계곡면, 해남군 마산면, 진도군 군내면 항렬자
경원군파 및 판도공파
강릉공파
공통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원주
원주(原州)는 강원도 남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평원군(平原郡) 또는 치악성(雉岳城)인데, 677년(신라 문무왕 17)에 북원소경(北原小京)이었으며 757년(경덕왕 16)에 북원경(北原京)으로 고쳤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원주(原州)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군으로 바꾸어 열월군과 제천군을 속군으로 평창현·단산현·영춘현·주천현·황려현을 속현으로 거느린 큰 군이 되었다. 1259년(고종 46)에 일신현(一新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260년(원종 1)에 원주군으로 복구되었다. 1269년(원종 10)에 정원도호부(靖原都護府)로 승격되었으며, 1291년(충렬왕 17)에 익흥도호부(益興都護府)로 개칭되었다. 1308년(충렬왕 34)에 원주목으로 승격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에 성안부(成安府)로 강등되었다가 1353년(공민왕 2)에 원주목으로 회복되었다. 조선에 들어서도 원주목을 유지했으며, 강원도의 관찰사영이 위치한 행정중심지였다. 1683년(숙종 9)과 1728년(영조 4)에 잠시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23부를 실시함에 따라 강원도의 감영이 폐지되고 충주부 소속의 원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도제 실시로 강원도 원주군이 되었다. 1955년 원주읍이 원주시(原州市)로 승격되고 나머지는 원성군(原城郡)이 되었다. 1989년 원성군을 다시 원주군으로 개칭하였고, 1995년 원주군이 원주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원주이씨(신)는
1985년에는 13,248가구 56,001명, 2000년에는 20,787가구 66,60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5,562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 월성군파(月城君派) : 1747년 경주이씨족보 발행시 경주로 환원했다.
- 판도공파(版圖公派) : 파조 이천명(李天明)은 자헌대부(資憲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다 - 강릉공파(江陵公派) : 파조 이영화(李英華, 1430~1517)는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를 역임하였다. - 경원군파(慶原君派) : 파조 이반계(李攀桂, ?~1392)의 호는 송헌(松軒), 작위(爵位)는 경원군(慶原君), 시호는 충절(忠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