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이원성(李元成)
시조 이원성(李元成)은 성종 때에 문과에 급제하고 정언(正言)을 지냈다.
그외의 유래 등은 알려져 있지 않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원성(李元成) : 문과(文科) 성종17년(1486) 식년시 병과(丙科)
이입(李立,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경남(李景男,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추남(李秋男,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준남(李俊男,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정언(李廷彦, 1604 甲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2년(1651) 식년시 삼등(三等)
이맹균(李孟均)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연산군1년(1495) 증광시 이등(二等)
* 모두 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2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장흥
장흥(長興)은 전라남도의 남쪽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원래는 백제의 오차현(烏次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오아(烏兒)로 개칭되어 보성군에 속하였다. 고려 초에 정안현(定安縣)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현종 때에 장흥부(長興府)로 승격되었다. 1265년(원종 6)에 다시 회주목(懷州牧)으로 승격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장흥부로 강등되었다. 1392년(태조 1)에 수령현의 중령산에 성을 쌓고 중심지로 했으며, 1413년(태종 13)에 장흥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652년(효종 3) 장흥현으로 강등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장흥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남도로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웅치(熊峙)·회천(會泉) 2개면이 보성군에 이관되었으며, 1936년 부동면(府東面)을 장흥면으로 개칭하고, 남상(南上)·남하(南下) 양면을 용산면(蓉山面)으로, 고읍면(古邑面)을 관산면(冠山面)으로 개칭하였다. 1942년 장흥면이 장흥읍으로 승격하였고, 1980년 관산면이 관산읍으로, 대덕면이 대덕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장흥이씨는
1985년에는 487가구 2,117명, 2000년에는 625가구 2,12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93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