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전의이씨(全義李氏)
    유래
     시조 : 이도(李棹)
    시조 이도(李棹)의 초명은 치(齒)며 익호는 성절(聖節)이다.
    본래 금강 유역에서 선박 수백 척을 보유하고 일본과 중국을 비롯하여 동남아와 해상무역을 하는 대세력가의 호족이다. 고려태조 왕건이 견훤을 정벌하고자 남하하여 공주에 도착했을 때, 금강이 범람하자 태조를 도와 무사히 강을 건너게했다. 그래서 태조로부터 도라 는 이름을 하사받고, 통합삼한개국익찬(統合三韓開國翊贊) 2등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벼슬이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에 이르고 전산(全山. 현재의 전의)후에 봉해졌다.
    그후 전의 계성산 아래로 이사해 살았기 때문에 후손들이 전의를 본관으로 하고 있다.

    - 묘소는 연기군 전의면 유천리에 있으며, 향사일은 음력 3월 3일과 10월 2일이다.
    인물
    고려시대에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지낸 이혼(李混)을 비롯하여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를 지낸 이지저,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를 지낸 이언충(李彦沖) 등 많은 관직자를 배출, 가문의 기틀을 잡았다.
    특히, 이사경(李思敬)은 1356년 서북면 병마부사를 지내고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에 올랐다.

    조선시대에 이정간(李貞幹)은 음보로 등용되어 강원도 도관찰사(都觀察使)에 이르러서 중추원사(中樞院事)에 임명되었고, 세종으로부터 궤장, 주악(酒樂)과 "가전충효 세수인경(家傳忠孝 世守仁敬)"라는 여덟자의 친서를 받았다.
    세조때의 이예장(李禮長)은 병조참의를 역임하였고, 이덕양(李德良)은 호조판서를 지냈는데 그는 벼슬하면서 청렴으로 일관했다.
    이수남(李壽男)은 1458년 문과급제하고 1471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전산군에 봉해졌으며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이효석(李孝碩)은 음보(陰補)로 정평부사(定平府使)로 재임중 침입한 호적(胡賊)과 싸우다 전사하였고, 명종때의 이준민(李俊民)은 1549년 문과급제하고 여러 내외직을 거쳐 좌참찬에 이르렀으며,
    이제신(李濟臣)은 1564년 문과급제, 1568년 사은사(謝恩使)의 종사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는 시문과 서예에 능했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인조때의 이상진(李尙眞)은 1645년 문과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우의정을 지냈고, 이천상(李天相)은 배유장(裵幼樟)에게 수학, 성리학에 정통했으며, 이황과 이재를 사숙했다. 그는 학행으로 참봉에 주어졌으나 취임하지 않고 후진양성에 힘썼다.
    주요 인물
    이희승(李熙昇)이간남(李艮男)이경기(李慶祺)이계맹(李繼孟)이과(李顆)
    이교헌(李敎獻)이구(李球)이구령(李龜齡)이구준(李耈俊)이구직(李丘直)
    이권(李勸)이근교(李根敎)이근명(李根命)이근우(李根友)이근필(李根弼)
    이긍세(李絚世)이기옥(李璣玉)이기준(李耆俊)이대기(李大期)이덕량(李德良)
    이덕부(李德孚)이덕수(李德壽)이덕재(李德載)이려(李勵)이만웅(李萬雄)
    이명준(李命俊)이무로(李茂魯)이문성(李文誠)이문형(李文馨)이문회(李文會)
    이방일(李邦一)이사경(李思敬)이사관(李士寬)이산두(李山斗)이상진(李尙眞)
    이석기(李碩基)이선기(李善基)이선행(李善行)이성신(李省身)이세분(李世芬)
    이세선(李世選)이수남(李壽男)이수준(李壽俊)이순인(李純仁)이숭경(李崇慶)
    이승효(李承孝)이시격(李時格)이시보(李時寶)이신의(李愼儀)이신회(李身晦)
    이언충(李彦沖)이여온(李汝溫)이연덕(李延德)이엽(李爗)이예장(李禮長)
    이운자(李挺元)이원손(李元孫)이위경(李偉卿)이유장(李惟樟)이윤성(李允成)
    이윤성(李潤成)이응로(李應魯)이의풍(李義豊)이익필(李益馝)이익회(李翊會)
    이인석(李仁錫)이재(李梓)이정간(李貞幹)이정란(李廷鸞)이정로(李正魯)
    이정작(李庭綽)이제만(李濟萬)이제신(李濟臣)이종기(李種杞)이종림(李鍾林)
    이준민(李俊民)이지화(李之華)이진섭(李眞燮)이징명(李徵明)이창신(李昌臣)
    이천상(李天相)이탁(李鐸)이한복(李漢福)이한응(李漢應)이한직(李漢稷)
    이해수(李海壽)이행건(李行健)이행원(李行遠)이행진(李行進)이호민(李好閔)
    이혼(李混)이홍제(李弘濟)이효장(李孝長)이희경(李熙絅)이희로(李僖魯)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기경(李基敬, 1713 癸巳生) : 문과(文科) 영조15년(1739)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부(李○) : 문과(文科) 연산군7년(1501)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명준(李命俊, 1572 壬申生) : 문과(文科) 선조36년(1603)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문회(李文會, 1758 戊寅生) : 문과(文科) 정조14년(1790)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운근(李雲根, 1620 庚申生) : 문과(文科) 효종1년(1650)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기경(李基敬) : 문과(文科) 영조33년(1757)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정작(李庭綽) : 문과(文科) 영조3년(1727)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효충(李效忠, 1484 甲辰生) : 문과(文科) 중종19년(152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의(李○) : 문과(文科) 중종16년(1521) 별시 을과(乙科)
     이신(李愼) : 문과(文科) 세종20년(1438) 식년시 정과(丁科)
    등 모두 66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88명, 무과 44명, 생원진사시 433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기도 성남시 구미동, 연천군 남면 선곡리
    -충북 청원군 오창면 학소리, 중원군 이류면 검단리
    -전북 완주군 봉동읍 낙평리, 옥구군 개정면 운회리
    -전남 나주군 세지면 교산리
    -경북 고령군 다산면 상곡동
    -경남 의령군 지정면 두곡리, 의령군 유곡면 세우리
    -황해도 벽성군 고산면 수정리
    항렬자
    26世
    윤(潤)○
    유(儒)○
    규(揆)○
    ○감(鑑)
    유(裕)○
    ○민(敏)
    27世
    ○식(植)
    ○만(萬)
    석(奭)○
    병(秉)○
    근(根)○
    28世
    희(熙)○
    봉(鳳)○
    ○임(林)
    ○열(烈)
    ○노(魯)
    29世
    교(敎)○
    병(炳)○
    겸(謙)○
    용(用)○
    ○세(世)
    30世
    ○호(鎬)
    ○형(蘅)
    ○원(遠)
    ○선(善)
    종(鐘)○
    31世
    한(漢)○
    석(錫)○
    용(鎔)○
    준(準)○
    ○호(浩)
    32世
    상(相)○
    ○상(相)
    ○승(承)
    ○영(永)
    ○직(稙)
    상(相)○
    33世
    ○섭(燮)
    동(東)○
    주(株)○
    헌(憲)○
    ○섭(燮)
    34世
    기(基)○
    ○열(烈)
    ○훈(勳)
    ○교(敎)
    기(基)○
    35世
    ○진(鎭)
    중(重)○
    재(在)○
    ○진(鎭)
    ○진(鎭)
    36世
    원(源)○
    37世
    ○수(秀)
    38世
    용(容)○
    39世
    ○균(均)
    40世
    석(錫)○
    41世
    ○영(永)
    42世
    동(東)○
    43世
    ○환(煥)
    44世
    중(重)○
    45世
    ○현(鉉)
    46世
    태(泰)○
    47世
    ○주(柱)
    48世
    -
    49世
    -
    50世
    -
    51世
    -
    52世
    -
    53世
    -
    54世
    -
    55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7世孫은 2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연기
    전의(全義)는 충청남도 연기군(燕岐郡) 전의면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백제의 구지현(仇知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금지현(金地縣)으로 개칭하였고, 고려에 들어 전의현으로 고쳐 청주목에 속하게 되었다. 1413년(태종 13) 현감(縣監)을 두었으며, 1414년(태종 14) 연기현(燕岐縣)과 합하여 전기현(全岐縣)이라 하다가 뒤에 다시 분리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의군으로 승격하였으나 1914년 군면 페합으로 연기군(燕岐郡)에 합병되었고 일부는 전의면(全義面)으로 남아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전의이씨는
    1985년에는 26,970가구 112,088명, 2000년에는 41,071가구 133,23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64,18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