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전주이씨(全州李氏, 완산)
    유래
     시조 : 이한(李翰)
    시조 이한(李翰)은 신라 경덕왕(742∼764 재위) 때의 인물로 덕망이 높고 문장이 탁월하여 신라에서 사공(司空) 벼슬을 지냈으며 그후 대대로 신라시대에 벼슬을 해왔다.

    18세손 이안사(李安社)는 대대로 전주에 살아온 호족이었는데 새로 부임한 지주의 탐학을 규탄하자 지주가 군사를 휘둘러 보복하려하여 그를 피해 강원도 삼척으로 피했다가 다시 함경도를 거처 원나라 간동으로가 그곳에서 다루가치 벼슬을 지냈고 증손자 되는 이자춘(李子春)이 고려시대에 공을 세워 사복경(司僕卿)에 이르렀다.

    이자춘의 아들, 즉 시조의 22세손 이성계(李成桂)에 이르러 어지러운 국정을 바로잡고 배극렴(裵克廉)등 52명의 추대로 왕위에 오르게 됨으로 조선왕조를 창건, 전주이씨의 중시조가 되었다.
    인물
    전주이씨는 조선 500년을 이끌어온 왕가이므로 가문의 번성기를 따로 기술할 필요가 없다.
    전주이씨의 1백여 파중 으뜸가는 명가는 밀성군(密城君. 침=세종의 아들)파로써 6명의 정승과 3대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했으며,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정종의 아들)파가 부자 대제학등 3명의 대제학과 영의정(領議政) 1명을 내어 밀성군파에 버금간다.
    덕천군파 다음으로는 3명의 정승을 배출한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정승 2명을 배출한 선성군파(宣城君派), 정승 1명과 숱한 문신과 무신을 배출한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등이 빼어나다.

    전주이씨는 오리정승(梧里政丞)으로 많은 일화를 남긴 인조때 영의정 이원익(李元翼), 흥선대원군(興宣大元君) 이하응,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李承晩), 철기(鐵驥) 이범석(李範奭)장군등 역사의 한획을 그었던 거목들을 배출하였다. 1585년(선조 18년) 이수광은 별시문과(別詩文科)에 급제, 1627년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여러차례 사신으로 명나라에 왕래, 당시 명나라에 와있던 이탈리아 신부에게서 "천주실의(天主實義)" "중우론(重友論)"을 얻어와 1614년(광해군 6년) "지봉유설(芝峰類說)"을 간행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와 서양 문물을 소개함으로써 실학발전의 선구자가 되었고 시문에도 능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주요 인물
    이강(李堈)이광수(李光洙)이구(李玖)이기붕(李起鵬)이낙연(李洛淵)
    이덕혜(李德惠)이도(李祹)이방원(李芳遠)이범석(李範奭)이봉주(李鳳柱)
    이산(李祘)이석(李錫)이선(李愃)이성계(李成桂)이수광(李睟光)
    이숙종(李淑鍾)이승만(李承晩)이영(李昊)이외수(李外秀)이우(李鍝)
    이원익(李元翼)이은(李垠)이은상(李殷相)이재준(李載濬)이제(李禔)
    이제마(李濟馬)이종(李倧)이준(李儁)이준용(李埈鎔)이하응(李昰應)
    이해찬(李海瓚)이현재(李賢宰)이홍구(李洪九)이회창(李會昌)이간(李侃)
    이간(李侃)이갑성(李甲成)이강년(李康埏)이갱생(李更生)이거(李璖)
    이건(李健)이건명(李健命)이건방(李建芳)이건석(李建奭)이건창(李建昌)
    이건필(李健弼)이건하(李乾夏)이경검(李景儉)이경광(李絅光)이경동(李瓊仝)
    이경록(李慶祿)이경무(李敬懋)이경석(李景奭)이경여(李敬輿)이경온(李景溫)
    이경우(李景宇)이경운(李卿雲)이경윤(李慶胤)이경중(李敬中)이경직(李景稷)
    이경하(李景夏)이계(李烓)이계(李誡)이계남(李繼男)이곤(李滾)
    이곤(李璭)이공(李玜)이공(李珙)이곽(李漷)이관(李琯)
    이관(李慣)이관명(李觀命)이광(李珖)이광(李㼅)이광(李珖)
    이광덕(李匡德)이광려(李匡呂)이광사(李匡師)이광영(李光英)이광필(李光弼)
    이교하(李敎夏)이구(李球)이구(李球)이구(李璆)이구령(李龜齡)
    이구원(李久源)이구징(李久澄)이규경(李圭景)이규원(李奎遠)이균(李釣)
    이근상(李根湘)이근원(李根元)이근택(李根澤)이근호(李根湖)이금(李昑)
    이급(李伋)이긍익(李肯翊)이기(李岐)이기(李沂)이기경(李基慶)
    이기상(李箕相)이기손(李起巽)이기언(李箕彦)이기연(李紀淵)이기익(李箕翊)
    이기지(李器之)이기축(李起築)이기호(李起鎬)이기홍(李箕洪)이남(李柟)
    이남식(李南軾)이내수(李來修)이녕(李寧)이단석(李端錫)이담(李湛)
    이담(李湛)이당(李檔)이당(李瑭)이당규(李堂揆)이대성(李大成)
    이덕무(李德懋)이덕성(李德成)이덕영(李德英)이덕온(李德溫)이덕주(李德周)
    이덕주(李德胄)이돈(李惇)이돈(李惇)이돈우(李敦宇)이돈하(李敦夏)
    이동로(李東老)이동언(李東彦)이동주(李東柱)이동직(李東稷)이득복(李得福)
    이득신(李得臣)이득제(李得濟)이득지(李得志)이란(李蘭)이량(李樑)
    이로(李輅)이륜(李倫)이림(李林)이만(李曼)이만선(李萬選)
    이만성(李晩成)이만영(李晩榮)이만용(李晩用)이만형(李萬亨)이말숙(李末叔)
    이면구(李勉求)이면긍(李勉兢)이면상(李冕相)이면승(李勉昇)이면주(李冕宙)
    이명(李溟)이명룡(李明龍)이명연(李明淵)이명오(李明五)이명우(李明宇)
    이명웅(李命雄)이명윤(李命允)이명은(李命殷)이명응(李明應)이명중(李明中)
    이명환(李明煥)이목(李楘)이목연(李穆淵)이몽학(李夢鶴)이묘묵(李卯默)
    이무(李堥)이문식(李文植)이미(李嵋)이미수(李眉壽)이민(李敏)
    이민곤(李敏坤)이민구(李敏求)이민도(李敏道)이민서(李敏敍)이민재(李敏載)
    이민적(李敏迪)이민철(李敏哲)이방간(李芳幹)이방과(李芳果)이방번(李芳蕃)
    이방석(李芳碩)이방연(李芳衍)이방우(李芳雨)이방의(李芳毅)이백린(李伯麟)
    이백온(李伯溫)이백유(李伯由)이범구(李範九)이범세(李範世)이범윤(李範允)
    이범익(李範益)이범직(李範稷)이범진(李範晉)이변(李昪)이병(李覮)
    이병무(李秉武)이병묵(李丙默)이병문(李秉文)이병욱(李丙旭)이병학(李丙學)
    이보(李俌)이보(李𤣰)이보(李溥)이보(李補)이복(李復)
    이복현(李復鉉)이봉(李熢)이봉구(李鳳九)이봉령(李鳳齡)이봉상(李鳳祥)
    이봉의(李鳳儀)이봉환(李鳳煥)이부(李暊)이부(李琈)이부영(李富永)
    이비(李裶)이빈(李薲)이사명(李師命)이사상(李師尙)이사철(李思哲)
    이삼만(李三晩)이삼석(李三錫)이상경(李尙敬)이상두(李相斗)이상만(李象萬)
    이상수(李象秀)이상욱(李相昱)이상좌(李上佐)이상질(李尙質)이상집(李尙○)
    이상형(李尙馨)이상황(李相璜)이서(李曙)이서(李曙)이서(李緖)
    이서구(李書九)이석(李晳)이석구(李石求)이석용(李錫庸)이선(李瑄)
    이선(李選)이선근(李瑄根)이선길(李鮮吉)이성(李珹)이성(李垶)
    이성(李晟)이성구(李聖求)이성규(李聖圭)이성동(李盛同)이성록(李成祿)
    이성린(李聖麟)이성부(李聖符)이성시(李聖時)이성윤(李誠胤)이성임(李聖任)
    이성중(李成中)이성중(李誠中)이성항(李性恒)이성효(李性孝)이세보(李世輔)
    이세석(李世奭)이세완(李世完)이세장(李世璋)이세준(李世俊)이소응(李昭應)
    이소응(李昭應)이송(李淞)이수(李睟)이수(李穟)이수(李綏)
    이수곤(李壽崑)이수대(李遂大)이수량(李遂良)이수록(李綏祿)이수민(李壽民)
    이수정(李樹廷)이수흥(李壽興)이숙(李潚)이숙(李潚)이숙(李橚)
    이숙(李淑)이순(李焞)이순승(李淳承)이순신(李純信)이순암(李純馣)
    이순형(李純馨)이숭효(李崇孝)이승달(李承達)이승보(李承輔)이승연(李升淵)
    이승응(李昇應)이승응(李昇應)이승재(李承宰)이승칠(李承七)이시만(李時萬)
    이시매(李時楳)이시열(李施說)이시원(李是遠)이시해(李時楷)이식(李拭)
    이식(李湜)이신성(李愼誠)이신애(李信愛)이심원(李深源)이안사(李安社)
    이암(李巖)이애라(李愛羅)이양(李穰)이양구(李洋球)이양연(李亮淵)
    이양우(李良祐)이양원(李陽元)이양중(李養中)이어수이억(李億)
    이억기(李億祺)이억상(李億祥)이억순(李億舜)이억재(李億載)이언강(李彦綱)
    이언경(李彦經)이여(李璵)이역(李懌)이연(李㮒)이연(李棩)
    이연상(李衍祥)이염(李琰)이영이영(李嶸)이영(李瑛)
    이영(李瓔)이영신(李榮臣)이영윤(李英胤)이영익(李令翊)이오(李澳)
    이옥정(李玉貞)이완응(李完應)이왕이요(李橈)이요(李㴭)
    이요헌(李堯憲)이용(李瑢)이용(李鏞)이용숙(李容肅)이용순(李容純)
    이용이(李龍頤)이용직(李容直)이용진(李用晋)이용진(李龍振)이용태(李容泰)
    이우(李俁)이우정(李宇鼎)이우휘(李遇輝)이욱(李郁)이운규(李雲圭)
    이원계(李元桂)이원긍(李源兢)이원회(李元會)이위(李暐)이위국(李緯國)
    이위종(李瑋鍾)이유(李瑠)이유(李瑜)이유(李瑈)이유(李濡)
    이유간(李惟侃)이유달(李惟達)이유령(李幼寧)이유명(李惟命)이유수(李惟秀)
    이유징(李幼澄)이유홍(李惟弘)이윤(李昀)이윤성(李潤聖)이융(李㦕)
    이은찬(李殷瓚)이응기(李應麒)이응시(李應蓍)이응희(李應禧)이의(李艤)
    이의이의(李艤)이의건(李義健)이의방(李義方)이의병(李義秉)
    이의봉(李義鳳)이의연(李義淵)이의전(李義傳)이의준(李義駿)이의징(李義徵)
    이의천(李倚天)이의필(李義弼)이이명(李頤命)이이반(李而攽)이익수(李益壽)
    이익신(李翊臣)이익정(李益炡)이익진(李翼晉)이익한(李翊漢)이익한(李翊漢)
    이인(李䄄)이인(李仁)이인(李裀)이인명(李寅命)이인복(李仁復)
    이인상(李麟祥)이인좌(李麟佐)이임(李琳)이자을(李資乙)이자춘(李子春)
    이장(李暲)이장렴(李章濂)이장오(李章吾)이재(李在)이재각(李載覺)
    이재극(李載克)이재순(李載純)이재완(李載完)이재원(李載元)이재유(李在囿)
    이재윤(李載允)이재의(李載毅)이재항(李載恒)이재현(李載現)이재형(李載亨)
    이전(李旃)이전(李佺)이전이점(李漸)이정
    이정(李鋥)이정(李楨)이정(李楨)이정(李霆)이정걸(李廷傑)
    이정규(李廷圭)이정리(李正履)이정빈(李廷賓)이정소(李廷熽)이정숙(李正淑)
    이정숙(李貞淑)이정신(李鼎臣)이정영(李正英)이정은(李貞恩)이제(李濟)
    이제(李堤)이제민(李齊閔)이제화(李齊華)이조(李朝)이조(李肇)
    이조묵(李祖默)이존중(李存中)이종(李種)이종(李徖)이종건(李鍾建)
    이종생(李終生)이종수(李鍾洙)이종승(李鍾承)이종인(李宗仁)이종휘(李種徽)
    이주(李珘)이주(李澍)이주국(李柱國)이주면(李周冕)이주철(李周喆)
    이준(李浚)이준(李準)이준도(李遵道)이준양(李俊陽)이준용(李埈鎔)
    이준의(李俊儀)이중계(李重繼)이중명(李重溟)이중철(李重徹)이중하(李重夏)
    이중호(李仲虎)이증(李璔)이증(李增)이지무(李芝茂)이지연(李止淵)
    이지용(李址鎔)이지원(李止遠)이직언(李直彦)이진(李禛)이진
    이진검(李眞儉)이진망(李眞望)이진백(李震白)이진수(李眞洙)이진순(李眞淳)
    이진유(李眞儒)이진형(李鎭衡)이집(李㙫)이집(李楫)이집(李鏶)
    이징(李徵)이징(李澄)이징(李澄)이징구(李徵龜)이찬(李澯)
    이창의(李昌誼)이채(李寀)이척(李拓)이척(李滌)이척연(李惕然)
    이천기(李天紀)이천우(李天祐)이철(李鐵)이초(李岹)이총(李灇)
    이총(李摠)이최선(李最善)이최응(李最應)이최중(李最中)이축(李軸)
    이춘(李椿)이춘영(李春英)이충원(李忠元)이충익(李忠翊)이충작(李忠綽)
    이치중(李致中)이침(李琛)이탄(李坦)이택(李澤)이택수(李澤遂)
    이하전(李夏銓)이학송(李鶴松)이학순(李學純)이한(李翰)이함(李涵)
    이합이항이항(李杭)이해(李瀣)이해남(李海南)
    이해조(李海朝)이해창(李海昌)이행리(李行里)이향(李珦)이헌(李櫶)
    이헌경(李獻慶)이헌구(李憲球)이헌국(李憲國)이헌길(李獻吉)이헌위(李憲瑋)
    이혁(李爀)이현(李俔)이현(李琄)이현기(李玄紀)이현록(李顯祿)
    이현석(李玄錫)이현조(李玄祚)이현종(李鉉淙)이혈(李娎)이형(李迥)
    이형규(李亨逵)이형령(李亨齡)이형록(李亨祿)이형상(李衡祥)이형욱(李馨郁)
    이형원(李亨元)이호(李晧)이호(李岵)이호(李淏)이호신(李好信)
    이호의(李好義)이혼(李琿)이혼(李焜)이혼(李混)이홍술(李弘述)
    이홍위(李弘暐)이홍주(李弘胄)이화(李和)이화삼(李化三)이확(李廓)
    이환(李峘)이환(李桓)이환(李奐)이활(李𤂾)이활(李活)
    이황(李晃)이회(李檜)이회(李懷)이효백(李孝伯)이효성(李孝誠)
    이후(李珝)이후(李垕)이후석(李後奭)이후여(李厚輿)이후원(李厚源)
    이훤(李藼)이휘(李徽)이휘지(李徽之)이흥발(李興發)이흥종(李興宗)
    이흥효(李興孝)이희(李熙)이희(李㟓)이희검(李希儉)이희득(李希得)
    이희령(李希齡)이희손(李希孫)이희원(李喜元)이희지(李喜之)경명군(景明君)
    경순공주(慶順公主)구천군(龜川君)긍선(亘璇)대의(大義)봉성군(鳳城君)
    사평왕후(思平王后)성눌(聖訥)연령군(延齡君)옥봉이씨(玉峰李氏)의순공주(義順公主)
    장섭(仗涉)정명공주(貞明公主)정순공주(貞順公主)지종(智宗)진종(眞宗)
    해원(海源)홍유(泓宥)효명옹주(孝明翁主)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식립(李植立, 1567 丁卯生) : 문과(文科) 선조38년(1605)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만(李曼, 1605 乙巳生) : 문과(文科) 인조6년(1628)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목(李穆, 1471 辛卯生) : 문과(文科) 연산군1년(1495)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부(李溥, 1444 甲子生) : 문과(文科) 세조14년(1468)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건(李楗, 1505 乙丑生) : 문과(文科) 중종37년(1542)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민구(李敏求, 1589 己丑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호의(李好義, 1560 庚申生) : 문과(文科) 선조30년(1597)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경석(李景奭) : 문과(文科) 인조4년(162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은로(李殷老, 1554 甲寅生) : 문과(文科) 선조38년(1605)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정빈(李廷賓, 1539 己亥生) : 문과(文科) 명종18년(1563)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433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785명, 무과 374명, 생원진사시 2719명, 역과 120명, 의과 70명, 음양과 77명, 율과 17명, 주학 16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 경기도 연천군 중면 도연리
    -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읍
    - 함경남도 북청군 거산면, 단천군 북두일면
    - 함북 길주군 덕산면, 장백면, 웅평면, 양사면
    항렬자

     양녕대군파(중시조로 1세) - 태종의 장남
    12世
    동(東)○
    13世
    ○용(容)
    14世
    규(奎)○
    15世
    ○선(善)
    16世
    승(承)○
    17世
    ○수(秀)
    18世
    병(丙)○
    19世
    ○기(基)
    20世
    종(鍾)○
    21世
    ○한(漢)
    22世
    주(柱)○
    23世
    ○섭(燮)
    24世
    시(時)○
    25世
    ○호(鎬)
    26世
    태(泰)○
    27世
    -
    28世
    -
    29世
    -
    30世
    -
    31世
    -

     효령대군파(중시조로 1세) - 태종의 차남
    13世
    우(遇)○
    14世
    ○범(凡)
    15世
    회(會)○
    16世
    ○우(宇)
    17世
    ○의(儀)
    18世
    기(起)○
    19世
    강(康)○
    20世
    ○재(宰)
    21世
    수(秀)○
    정(廷)○
    22世
    ○규(揆)
    23世
    ○존(存).○학(學)
    24世
    병(秉)○
    용(庸)○
    25世
    연(演)○
    26世
    ○경(卿)
    27世
    진(振)○
    28世
    ○범(範)
    29世
    ○년(年)
    30世
    ○래(來)
    31世
    중(重)○
    32世
    유(楢)○
    33世
    성(成)○
    34世
    ○원(遠)
    35世
    ○만(萬)
    36世
    ○욱(旭)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경녕군파(중시조로 1세) - 태종의 서자
    13世
    병(秉)○
    14世
    용(容)○
    15世
    희(喜)○
    16世
    종(鍾)○
    17世
    ○영(永)
    18世
    ○근(根)
    19世
    ○노(魯)
    ○섭(燮)
    20世
    ○기(耆)
    ○규(圭)
    21世
    ○현(鉉)
    ○용(鏞)
    22世
    승(承)○
    태(泰)○
    23世
    영(榮)○
    동(東)○
    24世
    지(志)○
    충(忠)○
    25世
    재(在)○
    재(載)○
    26世
    석(錫)○
    호(鎬)○
    27世
    ○구(求)
    28世
    ○모(模)
    29世
    ○형(炯)
    30世
    ○중(重)
    31世
    선(善)○
    32世
    -

     광평대군파(중시조로 1세) - 세종의 오남
    13世
    시(始)○
    14世
    의(義)○
    15世
    ○연(淵)
    16世
    인(寅)○
    17世
    ○하(夏)
    18世
    범(範)○
    19世
    ○종(鍾)
    20世
    규(揆)○
    21世
    ○표(杓)
    22世
    충(忠)○
    23世
    ○기(基)
    24世
    선(善)○
    25世
    ○우(雨)
    26世
    동(東)○
    27世
    -
    28世
    -
    29世
    -
    30世
    -
    31世
    -
    32世
    -

     덕흥대원군파(중시조로 1세) - 중종의 서자와 그 아랫대에서 갈라져 나온 모든 파.
    10世
    ○식(植)
    11世
    ○응(應)
    12世
    재(載)○
    13世
    ○용(鎔)
    14世
    해(海)○
    15世
    ○주(柱)
    16世
    우(愚)○
    17世
    ○기(基)
    18世
    의(義)○
    19世
    ○운(雲)
    20世
    종(種)○
    21世
    희(熙)○
    22世
    -
    23世
    -
    24世
    -
    25世
    -
    26世
    -
    27世
    -
    28世
    -
    29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1世孫은 10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
    전주(全州)는 전라북도 중앙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대 마한(馬韓)의 원산성(圓山成)에서 유래하며, 백제시대에 완산(完山) 또는 비사벌(比斯伐)·비자화(比自火) 등으로 불렸다가, 555년(위덕왕 2)에 완산주(完山州)로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완(完)을 의역(意譯)하여 전주(全州)로 고쳤고, 900년(효공왕 4)에 견훤(甄萱)이 무주(武州: 光州)로부터 이곳으로 후백제의 도읍을 옮겨 백제 부흥의 노력을 하였다. 936년(고려 태조 19)에 후백제가 망하자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가 설치되었다가 940년에 다시 전주로 회복되었다. 983년(성종 2)에 12목 가운데의 하나인 전주목이 설치되었으며, 993년에 승화(承化)로 개칭하고 절도안무사(節度安撫使)를 두었다. 995년에는 강남도(江南道) 관하의 전주순의군절도사(全州順義軍節度使)가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다시 안남대도호부로 승격되고, 1022년에 전주목으로 개칭되어 1곳의 속군과 11곳의 속현을 포함하는 큰 고을이 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전주로 강등되고, 1355년(공민왕 4)에는 부곡으로 강등되었다가 이듬해에 완산부(完山府)로 복구되었다. 1392년(태조 1)에 전주이씨의 본향지라 하여 완산부유수(完山府留守)로 승격되었으며, 1403년(태종 3)에 전주부(全州府)로 개칭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전주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 전주군으로 개편된 이래 1935년 전주면이 부로 승격하여 독립하고 1949년 전주시로 개칭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전주이씨는
    1985년에는 558,019가구 2,379,537명, 2000년에는 808,511가구 2,609,89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631,643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전주 이씨에서 갈라진 본관은 대흥이씨와 영해이씨가 있다.
    - 대흥이씨(大興李氏)의 시조는 전주이씨 22세에서 분관한 대흥군(大興君) 이연계(李連桂)이다.
    - 영해이씨(寧海李氏)의 시조 이연동(李延東)은 완산이씨(完山李氏) 이립전(李立全)의 후손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