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정선이씨(旌善李氏)
    유래
     시조 : 이양혼(李陽焜)
    시조 이양혼(李陽焜)의 자는 원명(元明)으로 안남국(安南國. 현 베트남) 리왕조(1009~1225)의 왕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고려 때(12세기경) 귀화하였다.
    그가 북송 휘종(徽宗) 때 금나라와의 전쟁을 피하여 우리나라에 들어와 경주에서 정착하여 살았다.

    그의 6세손 이의민(李義旼)은 고려 의종 때 무신 정중부의 난에 적극 가담, 큰 공을 세웠다. 7년 후 정중부는 경대승에 의해 피살되고 경대승도 5년만에 병사하자 이의민이 정권을 잡아 의종을 죽이고 명종을 내세워 14년간 고려를 통치했다.
    이의민과 아들 이성순(李性純)이 고려 명종 26년 최충헌(崔忠獻)에게 화를 입고 손자 이우원(李遇元)이 정선으로 낙향하여 대대로 살았기 때문에 본관을 정선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봉금(李奉金,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상길(李尙吉, 1594 甲午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우신(李友信, 1632 壬申生) : 무과(武科) 숙종6년(1680) 정시 병과(丙科)
     이중생(李仲生, 1595 乙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계감(李繼○, 1631 辛未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이의운(李依雲,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사민(李士敏, 1573 癸酉生) : 무과(武科) 광해군5년(1613) 증광시 병과(丙科)
     이대윤(李大潤, 1860 庚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삼등(三等)
     이달원(李達源, 1862 壬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9년(1882) 증광시 삼등(三等)
     이병익(李炳翼, 1869 己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4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7명, 생원진사시 11명, 역과 17명, 의과 1명, 음양과 2명, 율과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정선
    정선(旌善)은 강원도 남동부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 지역으로 668년(보장왕 27) 잉매현(仍買縣)이라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정선이라 개칭하여 명주(溟州: 江陵)의 영현(領縣)이라 하였다. 1018년(고려 헌종 9) 그대로 명주의 속현으로 하였다가 정선군으로 승격되어 조선시대까지 유지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忠州府) 정선군이 되었고, 1896년 도제(道制) 실시에 따라 다시 강원도 정선군으로 환원되었다. 1973년에 정선면과 동면 사북출장소, 1980년에 신동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5년에는 사북읍이 고한읍과 사북읍으로 분리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정선이씨는
    1985년에는 809가구 3,107명, 2000년에는 1,121가구 3,65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59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