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진보이씨(眞寶李氏, 진성)
    유래
     시조 : 이석(李碩)
    진성이씨는 이석(李碩)을 시조로 한다.
    진성을 본관으로 삼은 것은 선조들이 대대로 진보현(현 진성)에 살았기 때문이다. 진성이씨의 조상들은 이 고을의 아전(고려시대의 아전은 높은 관직임.)이었다고 한다. 대대로 아전직을 이어오다가 고려말 이석이 학문에 뜻을 세워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해 가문을 새출발시켰다.
    그의 아들 이자수(李子脩)가 충숙왕(忠肅王) 때 명서업(明書業, 글씨 잘 쓰는 사람을 뽑는 과거)에 급제, 나중 홍건적토벌에 공을 세우고 안사공신(安社功臣)으로 송안군(松安君)으로 봉해지며 벼슬이 판전의사사에 올라 가문의 기틀을 다졌다.
    인물
    진성이씨의 기틀은 고려말 이자수에 의해 싹이 트고 조선시대 퇴계(退溪) 이황(李晃)에 이르러서 성장하기 시작한다.
    학문의 가문답게 문집등 저술을 남긴 학자만도 조선시대에 50여명을 헤아리며 58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한 한국의 지성(知性)을 대표하는 명문이다.

    퇴계 이황은 시조 이석의 6대손으로 1501년 안동 도산면에서 진사 이식(李埴)의 막내로 태어나서 1571년 문묘에 배향될때까지 그의 70년 일생은 성(誠)과 경(敬)으로 성인(聖人)을 추구해간 구도와 정진의 나날이었다. 34살에 문과 급제했고 그 학문과 인격이 나라안을 감화시켜 대제학, 예조판서, 우찬성, 판중추부사 등 높은 벼슬도 했으나, 그보다는 학문과 자기수양에 뜻이 있어 벼슬을 사양하고 고향 안동 도산면에 돌아가 연구와 저술, 후진 지도에 몸바쳤다.
    퇴계는 당시의 학자들이 모두 그러했듯이 주자학(성리학)을 쫓았다. 그러나 연구와 실천을 통해 주자의 성리학을 재정리하고 발전시켜 퇴계학으로 정립했다.
    퇴계의 형인 이해는 인종때 예조참판, 대사헌에 올랐고 퇴계의 손자 이안도(李安道)가 퇴계의 성리학을 이어받아 많은 제자를 길렀다.

    "내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계절…"로 시작하는 시를 지은 시인 이육사(李陸史)도 이 가문출신으로 일제의 감옥에서 마친 짧은 삶과 함께 애국적인 저항시인으로 오늘날 재조명을 받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만덕(李晩德, 1809 己巳生) : 문과(文科) 헌종12년(1846)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만도(李晩燾, 1842 壬寅生) : 문과(文科) 고종3년(186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이송(李爾松, 1598 戊戌生) : 문과(文科) 인조13년(1635)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효순(李孝淳, 1789 己酉生) : 문과(文科) 순조22년(1822)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세택(李世澤, 1716 丙申生) : 문과(文科) 영조29년(1753) 정시 을과(乙科)
     이회보(李回寶, 1594 甲午生) : 문과(文科) 인조7년(1629) 별시 을과(乙科)
     이휘림(李彙林, 1829 己丑生) : 문과(文科) 철종6년(1855) 식년시 병과(丙科)
     이세태(李世泰, 1698 戊寅生) : 문과(文科) 영조20년(1744) 식년시 병과(丙科)
     이황(李滉, 1501 辛酉生) : 문과(文科) 중종29년(1534) 식년시 을과(乙科)
     이동표(李東標, 1644 甲申生) : 문과(文科) 숙종9년(1683)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17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9명, 생원진사시 11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북 안동군 도산면 온혜동.
    안동시 도산서원에서 고개 하나를 넘어 조금가면 온혜동이다.
    입향조는 시조의 고손인 이계양(李繼陽)이다. 그는 봉화 훈도(訓導)로 있을때 안동서 봉화로 가는 길에 굶주림으로 의식을 잃고 쓰러진 한 스님을 구해주었다고 한다. 목숨을 건진 스님은 이계양에게 집터를 잡아주며 "이곳에 집을 지으면 자손이 귀히 되리라"고 예언했다. 그후 나라가 어지럽자 그는 벼슬에 뜻을 버리고 스님의 스님의 말대로 이곳에 집터를 잡아 살게되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
    진보(眞寶)는 경상북도 청송군에 있는 지명으로 신라 때에는 칠파화현(漆巴火縣)이라 하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진보현으로 고치고, 문소군(聞韶郡: 義城)의 영현을 삼았다. 고려 태조 때 진안현(眞安縣)과 합쳐 보성부(甫城府)로 개편하였다. 1018년(현종 9) 예주(禮州: 寧海)에 편입시켰는데 왜구로 인해 그 지방을 비워 두었다가 조선 태조 때 현(縣)을 설치하였다. 세종 때 청부(靑鳧)를 합하여 청보군(靑寶郡)이라 하다가 진보로 고쳐 현으로 삼았다. 1474년(성종 5) 청송(靑松)에 편입하였다가, 1478년(성종 6) 다시 복구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보군이 되었고, 1896년 경상북도에 이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동면과 북면은 영양군(英陽郡)에 병합되었고, 나머지는 청송군(靑松郡)에 편입되었는데 그 중심지역은 진보면으로 남아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진보이씨는
    1985년에는 14,428가구 58,877명, 2000년에는 20,890가구 66,40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5,03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