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이특룡(李特龍)
진안이씨의 시조인 이특룡(李特龍)은 진안 사람으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나 진사(進士)에 급제한 후 여러 차례 시정(時政)을 바로잡기 위한 상소를 하다가 안북(정주)로 유배되었다.
그의 후손들이 안북에 정착하여 살면서 그에 대한 사적을 알고자 하였으나 수차의 전쟁으로 소실되어 알 길이 없어 그가 살던 진안을 본관으로 하였다.
인물
조선시대에 직장(直長)을 지낸 이득림(李得霖)을 비롯하여 부호군의 이승영(李承榮), 사정(寺正) 이승빈(李承彬), 권관(權管) 이정남(李貞南), 만호(萬戶) 이두장(李杜章), 별장(別將) 이여각(李汝覺), 첨정(僉正) 이이각(李而覺), 주부(主簿) 이대춘(李待春), 만호(萬戶) 이대의(李大義), 판관(判官) 이천춘(李千春) 등을 들 수 있다.
관직이 내자정(內資正)에 오른 이인현(李仁賢)과 사직(司直) 이원엽(李元葉),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진화(李鎭華), 별장 이진열(李進說), 부호군 이하적(李夏迪), 중추부사 이경보(李景補), 부호군 이두병(李斗柄) 등은 당대 진안이씨 가문을 빛낸 인물들이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영준(李英俊) : 문과(文科) 중종2년(1507) 식년시 병과(丙科)
이인현(李仁賢, 1499 己未生) : 문과(文科) 중종20년(1525) 식년시 병과(丙科)
이인현(李仁賢)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17년(1522) 식년시 이등(二等)
이인현(李仁賢)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17년(1522) 식년시 일등(一等)
이영준(李英俊)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연산군7년(1501) 식년시 일등(一等)
이신곤(李信坤, 1844 甲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생원진사시 4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세거지
반도 서북단에 위치한 철산은 군역이 대부분 반도로 되어 있어 이른바 철산반도로
불리운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진안이씨는
1985년에는 682가구 2,861명, 2000년에는 943가구 3,12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91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