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진위이씨(振威李氏)
    유래
     시조 : 이자영(李自英)
    시조 이자영(李自英)은 경주이씨의 시조 이거명의 후손이라고 하나 혈연관계를 고증할 수 없다.
    그가 고려 때 예의판서(禮儀判書)를 지내면서 공을 세워 진위군에 봉해짐으로써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진위로 하였다.
    인물
    고려시대에 태사(太師)를 지낸 이중육(李仲育)을 비롯, 밀직사(密直使) 이옹 등과 조선시대에 승지(承旨) 이지(李至), 좌윤(左尹) 이전(李筌), 참군(參軍) 이종(李鍾), 부사직(副司直) 이호생(李虎生) 등의 관직자를 배출하였다.
    조선시대에 좌랑(佐郞)을 지낸 이즙을 비롯하여 1660년(현종 1년) 생원이고 1682년(숙종 8년) 공홍도(公洪道)의 유생들과 함께 김진생(金辰生), 송준길(宋浚吉)의 묘종사를 소청(疏請)하였고 침구(鍼灸)에 능했으며 경사백가(經史百家)에도 정통했던 이경화(李景華)등은 당대 진위이씨 가문을 빛낸 인물들이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성묵(李性默, 1844 甲辰生) : 문과(文科) 고종19년(1882) 증광시 병과(丙科)
     이태온(李泰○, 1699 己卯生) : 문과(文科) 영조14년(1738) 식년시 병과(丙科)
     이지립(李智立)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이석조(李錫祚, 1626 丙寅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이엄(李嚴,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정발(李廷發, 1602 壬寅生) : 무과(武科) 인조11년(1633) 증광시 병과(丙科)
     이의일(李義逸, 1614 甲寅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정생(李禎生, 1617 丁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흥남(李興男,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문리(李文里,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10명, 생원진사시 6명, 율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충청북도 옥천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평택
    진위(振威)는 경기도 평택시(平澤市)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고구려 때에는 부산현(釜山縣: 古淵達部曲·金山·松村活達縣)이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진위현으로 개칭하였고, 수성군(水城郡: 水原)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에도 수주(水州: 水原)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監務)를 두었다가, 후에 현령(縣令)을 파견함으로써 독립하였다. 1398년(태조 7) 수도를 한양으로 옮김에 따라 충청도(忠淸道)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1433년(세종 15)에는 수원의 속현이었던 영신현(永新縣)이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위군이 되어 공주부에 소속되었다가, 1896년에 경기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수원군의 15개면과 충청남도 평택군 일원으로 병합되었다. 1938년에 진위군을 평택군으로 개칭함으로 진위군이라는 이름이 사라졌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진위이씨는
    1985년에는 976가구 4,018명, 2000년에는 1,597가구 5,04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90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