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차성이씨(車城李氏, 기장)
    유래
     시조 : 이위(李渭)
    시조 이위(李渭)는 신라 신무왕 때에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에 오른 문의공(文義公) 이사언(李嗣彦)의 차남으로 공을 세워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올랐고 차성군에 봉해졌다. 이위는 양산촌장 이알평의 33세손이라고 한다.
    그래서 후손들이 경주이씨에서 분관하여 본관을 차성으로 하고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
    차성(車城)은 기장(機張)의 옛 지명으로 부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다. 본래는 신라 때에는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기장현(機張縣)으로 개칭하여 동래군에 속하게 하였다. 고려 현종 때 양주 또는 울주에 예속되기도 하였다. 1599년(선조 32)에 동래부에 폐합되었다가 1617년(광해군 9) 기장현으로 복원되었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동래부 기장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상남도 기장군이 되었다. 1945년 이후 부산시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동래군의 대부분이 부산시에 편입되었으나 기장면(機張面)은 양산군(梁山郡)에 편입되었다. 1973년에 동래군이 폐지되면서 옛 기장현 지역은 대부분 양산에 편입되었다. 1995년 기장현 지역이 기장군으로 다시 신설되어 부산광역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차성이씨는
    1985년에는 371가구 1,577명, 2000년에는 688가구 2,17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39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