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창평이씨(昌平李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일남(李一男,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영내(李英乃, 1636 丙子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이계일(李戒一, 1588 戊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성택(李成澤, 1629 己巳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이충남(李忠男, 1602 壬寅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선경(李先敬, 1604 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8년(1630) 식년시 을과(乙科)
이귀방(李貴邦,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지흥(李枝興, 1611 辛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응혁(李應赫, 1610 庚戌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이경(李坰, 1635 乙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3년(1662)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1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9명, 생원진사시 7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昌平)은 전라남도 담양군(潭陽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굴지현(屈支縣)이었던 것을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기양현(祈陽縣)으로 고쳐 무주(武州 : 광주)에 예속시켰으며, 고려조에 와서 창평현(昌平縣)으로 개칭(改稱)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창평이씨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1가구 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4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