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이덕부(李德富)
시조 이덕부(李德富)는 성주에서 살았으며 벼슬은 부정(副正)에 이르렀다.
그의 5세손인 이우(李祐)가 청송군(靑松君)에 봉해졌기 때문에 후손들이 본관을 청송으로 하였다.
이덕부는 벽진장군(碧珍將軍) 이총언(벽진이씨의 시조)의 후손으로 전하고 있으나 고증(考證)할 자료가 없다.
인물
고려시대에 시사(侍史)를 지낸 이원양(李元亮)을 비롯, 부영(副令) 이원필(李元弼), 시랑(侍郞) 이조(李祚) 등과 직장(直長)의 관직에 이른 이성유(李成裕), 도호부사(都護府事) 이번(李蕃) 등을 들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안무사(按撫使) 이흥문(李興門), 선략장군(宣略將軍) 이응후(李應厚), 참의(參議)를 지낸 이득천(李得天), 부호군(副護軍) 이대영(李大榮), 이시장(李時章), 도사(都事) 이시화(李時華), 통신사(通信司) 이병호(李炳昊),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동무(李東茂) 등은 가문을 빛낸 인물들이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하준(李河駿, 1857 丁巳生) : 문과(文科) 고종25년(1888) 별시2 병과(丙科)
이양복(李陽馥, 1731 辛亥生) : 문과(文科) 영조41년(1765) 식년시 병과(丙科)
이언호(李彦好, 1595 乙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익흠(李翊欽, 1837 丁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식년시 삼등(三等)
이상섭(李尙燮, 1794 甲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년(1864)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세거지
-강원도 회양군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
청송(靑松)은 경상북도 중부 동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청송군의 파천면 일부는 고구려 말에 청기현(靑杞縣)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적선현(積善縣)으로 개칭되어 야성군(野城郡: 盈德)의 영현이 되었다. 적선현은 고려 초에 부이(鳧伊) 또는 운봉(雲鳳)으로 불리다가 986년(성종 5) 청부현(靑鳧縣)으로 개칭되어 예주군(禮州郡: 盈德郡)에 속하였다가 1018년(현종 9)에 예주(禮州: 寧海)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감무를 파견하였다. 1394년(태조 3) 진보현(眞寶縣)을 합병하였다. 1419년(세종 1) 청보군(靑寶郡)으로 승격하였다. 후에 진보와 분리되었고 세조 때 송생현(松生縣)을 병합하여 청송군으로 개칭되었으며, 안덕현(安德縣)을 병합하여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안동부 청송군·진보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상북도 청송군·진보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진보군 일부를 합하여 8개면으로 개편하였다. 1979년 5월 청송면이 읍으로 승격하였고, 1983년 영양군 입암면 방전리·홍구리 등 일부를 편입하였다. 현재 청송군은 청송읍과 부동·부남·현동·현서·안덕·파천·진보면 등 1읍 7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청송이씨는
1985년에는 308가구 1,296명, 2000년에는 247가구 81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5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