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청안이씨(淸安李氏)
    유래
    청안이씨는 시조를 달리하는 두 파가 있다.

    충원공파(忠元公派)의 시조 이양길(李陽吉)의 시호는 충원(忠元)으로 고려말에 문과에 급제하여 공민왕 때 검교시랑, 예빈사동정(禮賓寺同正)을 역임하였으며 이때 왕에게 직간한 것이 화가되어 제주판관으로 내려갔다가 공민왕 5년 10월 순절하여 1등공신에 녹훈되고 청안군에 봉해졌다.

    충간공파(忠簡公派)의 시조 이한번(李漢蕃)의 시호는 충간(忠簡)으로 고려 충렬왕 때 문과에 올라 한림학사와 영광군사(靈光郡事)를 거쳐 국사원(國史院) 검열관(檢閱官)을 지낸 뒤 1363년(공민왕 7년) 홍건적을 막은 공으로 초성보리공신 삼중대광에 책록되고 청안백에 봉해졌다.

    이 두파는 예전에 시조를 이학년(李鶴年)으로 하였으나 최근에 여러가지 증거에 의해 사실이 아님이 밝혀져서 이를 수정하였다.
    인물
    1414년 전라도와 충청병마절도사, 병조판서(兵曺判書)를 역임한 이광경(李光慶),1452년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으로 청평군(淸平君)에 봉해졌고 1474년 현감(縣監)을 지낸 이기(李基) 등을 들 수 있다.

    조선시대에 관찰사를 역임한 이종주(李從周)를 비롯하여 현감을 지낸 이임(李臨), 현령(縣令) 이지(李地), 부사 이경방(李經邦)과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 개운포에서 순절하여 병조참판에 추증된 이응춘(李應春), 훈련원자사(訓鍊院者事) 이덕매(李德梅), 첨정 이유인(李有隣), 판관 이삼한(李三韓), 영장(領將) 이눌(李訥), 가선대부병조참판(嘉善大夫兵曺參判) 이운춘(李運春), 도호부사 이승연(李昇淵), 부사 이방인(李芳隣) 등은 관직에 오른 후 선정을 베풀거나 충절로서 당대 청안이씨의 이름을 떨친 인물들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방린(李芳隣, 1547 丁未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이수인(李樹仁, 1739 己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7년(1783) 식년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이수교(李樹敎, 1785 乙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31년(1831) 식년시 이등(二等)
     이효상(李孝相, 1774 甲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3년(1803) 증광시 삼등(三等)
     이수영(李守英)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연산군7년(1501) 식년시 삼등(三等)
     이술현(李述賢, 1736 丙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1년(1765) 식년시 삼등(三等)
     이기연(李岐淵, 1822 壬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년(1865) 식년시 삼등(三等)
     이재국(李在國, 1838 戊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생원진사시 7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북 월성군 안강읍과 외동면
    -경북 영일군 청하면 청계리와 의성읍
    -경북 울주군 온양면 발리, 언양면 반송리, 청양면 율리, 농소면 상안리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괴산
    청안(淸安)은 충청북도 괴산군(槐山郡)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도안(道安)과 청당(淸塘)이 합쳐진 지명이다. 도안현은 고구려 때는 도서현(道西縣)이라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도서(都西)로 바뀌고 고려 초에 도서를 도안현으로 고쳤다. 청연현(淸淵縣)은 신라 때의 청당으로 바뀌어 1018년(현종 9) 도안과 청당이 청주에 속하게 되었다. 1405년(태종 5) 청주에 속해있던 청당현과 도안현을 합하여 청안현이라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청안군으로 승격하였으나,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청안군이 폐지되었고, 서면(西面)은 청주에 편입하였고, 나머지 일원은 괴산(槐山)으로 편입해서 청안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청안이씨는
    1985년에는 3,086가구 12,801명, 2000년에는 4,264가구 13,54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8,27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