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평산이씨(平山李氏)
    유래
     시조 : 이부명(李敷明)
    시조인 이부명(李敷明)의 조상은 당나라 설인귀(薛仁貴)가 보낸 8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서 우리나라 평산에 들어와 일반 백성들에게 예법을 가르쳤다고 전하나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
    사문박사(四門博士) 이부명(李敷明)을 시조로 하였으나 후손들에 대한 기록이 소실되었기 때문에 이부명의 후손으로서 고려때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낸 이자용(李子庸)을 1세조로 하고 있다.
    시조가 처음 평산에 들어와 살았기 때문에 본관을 평산으로 하였다.
    인물
    고려시대에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했던 이빈(李彬)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부사의 관직에 오른 이수헌, 우찬성 이천위(李天緯), 관찰사 이천경(李天經), 판서 이지하, 참의 이원절, 참찬관 이덕윤(李德潤),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석곤(李錫坤) 등의 관직자를 배출하였다.
    돈영부사(敦寧府事)를 지낸 이창식(李昌植)과 현감 이종식(李宗植), 부호군 이승일(李承逸), 의관 이문옥(李文玉),
    그리고 1732년(영조 8년) 식년무과에 급제하고 이조좌랑을 지낸 이익상(李翼相), 가의대부(嘉義大夫) 이계남(李繼男) 등의 인물들이 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익상(李翼相, 1732 壬子生) : 문과(文科) 영조38년(1762) 식년시 병과(丙科)
     이붕익(李鵬翼, 1868 戊辰生) : 문과(文科) 고종27년(1890) 별시 병과(丙科)
     이인벽(李寅璧, 1858 戊午生) : 문과(文科) 고종17년(1880) 증광시 을과(乙科)
     이순기(李順己,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기석(李期碩, 1604 甲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1년(1633) 식년시 삼등(三等)
     이태원(李泰元, 1663 癸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7년(1711) 식년시 삼등(三等)
     이환룡(李煥龍, 1722 壬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7년(1771) 식년시 삼등(三等)
     이덕양(李德養, 1740 庚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4년(1768) 식년시 삼등(三等)
     이관호(李觀浩, 1863 癸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5년(1888)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기도 개풍군 영남면 용흥리, 개풍군 남면
    -강원도 금화군 근북면 성암리
    -황해도 연백군 은천면 옥산리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평산
    평산(平山)은 황해도 남동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평주(平州)의 다른 이름이다. 고구려 때에는 대곡군(大谷郡) 또는 다지실(多知悉)이라 하였으며, 747년(신라 경덕왕 6) 대곡성을 설치하였고, 757년(경덕왕 16)엔 영풍군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783년(선덕여왕 4)에는 진(鎭)을 두고 한주(漢州)에 예속시켰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명칭을 평주로 바꾸었고, 성종 때 방어사(防禦使), 현종 때는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1272년(원종 13)엔 복흥군(復興郡) 즉 배천(白川)에 잠시 예속되었다가 충렬왕 때 다시 복구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평산으로 바꾸고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평산군으로 개편하였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남서부의 일부를 연백군에 이속시켰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평산이씨는
    1985년에는 704가구 2,929명, 2000년에는 1,047가구 3,39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27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