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평택이씨(平澤李氏)
    유래
    평택이씨(平澤李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함수(李咸守, 1605 乙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평택
    평택(平澤)은 경기도 남동단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구려 장수왕 때는 송촌활달(松村活達)·부산현(釜山縣: 古淵達部曲)이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인 757년(경덕왕 16)에 진위현(振威縣)으로 개칭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수성군(水城郡)에 편입되었으며 동시에 평택현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 水原)의 속현이 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후에 현령을 파견하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 현감을 두고 1505년(연산군 11)에 처음으로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속(移屬)되었다. 중종 초에 충청도로 환원되었으며, 1596년(선조 29)에 직산현(稷山縣)에 예속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에 복구하여 현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군으로 승격되었고, 1896년에 진위현은 경기도에, 평택현은 충청남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진위군은 수원군의 15개면과 충청남도 평택군 전역을 병합하여 면적이 크게 확대되었다. 1924년 진위군이 평택군으로 개칭되었다. 1983년 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안성군 원곡면(元谷面) 용이리(龍耳里)·죽백리(竹柏里)·청룡리(靑龍里)·월곡리(月谷里)와 공도면(孔道面)의 소사리(素砂里)가 평택읍에, 용인군 남사면(南四面) 진목리(眞木里) 일부와 봉명리(鳳鳴里) 일부가 진위면에 각각 편입되었으며, 1986년 평택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평택군·평택시·송탄시가 평택시로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평택이씨는
    1985년에는 87가구 394명, 2000년에는 355가구 1,09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3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