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이거(李据)
시조 이거의 자는 거옥(居玉), 시호는 문정(文貞)으로 고려 명종 때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냈다.
고려 명종 4년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趙位寵)이 정중부(鄭仲夫)와 이의방(李義方) 등을 평정 할 때 랑장(郞將)으로 이를 토평한 공으로 하빈군(河濱君)에 봉해짐으로써 그의 후손들이 하빈을 본관으로 하였다.
묘소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비면에 있으며 향사일은 음력 10월 10일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상룡(李相龍, 1767 丁亥生) : 문과(文科) 순조7년(1807) 식년시 병과(丙科)
이문흠(李文欽, 1773 癸巳生) : 문과(文科) 순조14년(1814) 정시 병과(丙科)
이동욱(李東旭, 1827 丁亥生) : 문과(文科) 헌종12년(1846) 별시 병과(丙科)
이맹지(李孟智) : 문과(文科) 세종2년(1420) 식년시 병과(丙科)
이충남(李忠男,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삼남(李三男,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의안(李義安,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천성(李天性, 1596 丙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시남(李時男, 1606 丙午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경생(李景生,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4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명, 무과 6명, 생원진사시 39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
하빈(河濱)은 대구광역시 달성군(達城郡)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신라 때에는 다사지현(多斯知縣)이라 하였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하빈현으로 고쳐 수창군(壽昌郡)에 속하게 하였다. 그 후 고려시대에 들어와 1018년(현종 9)에 경산부(京山府)에 내속되었다가, 1143년(인종 21) 대구현(大邱縣)에 영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하서면과 하북면을 하빈면으로 통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하빈이씨는
1985년에는 3,125가구 12,627명, 2000년에는 4,657가구 15,05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7,96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