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한산이씨(韓山李氏)
    유래
     시조 : 이윤경(李允卿), 이윤우(李允佑)
    한산이씨는 같은 뿌리이면서 시조를 달리하는 두 계통이 있다.

    [ 호장공계 ]
    한산이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호장공계의 시조는 고려 숙종 때 호족으로서 권지호장직(權知戶長職)에 오른 이윤경(李允卿)이다. 그러나 시조라 할 중시조는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아버지인 이곡(李穀)이다.
    이곡은 당대의 대문장가이며, 우탁 이동(易東), 포은 정몽주(鄭夢周)와 더불어 경학(經學)의 대가였으며 고려 충숙왕 7년 문과에 급제하고 원나라 제과(制科)에도 급제하여 벼슬이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이색이 1362년 홍건적의 난에 왕을 호종하여 공을 세워 한산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한산으로 하였다.

    [ 권지공계(權知公系) ]
    시조 이윤우(李允佑)는 고려시대에 문과에 올라 왕의 신임을 얻어 동생 이윤경과 함께 각각 한산이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호장공계의 족보에는 두사람이 형제였다는 내용이없다. 권지공계는 여러대를 독자로 자손을 이어 왔으므로 아는 사람이 드믈고 현달한 사람도 없다.
    인물
    고려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인 이색(李穡)을 비롯하여 사육신의 한 사람인 이개, 대문장가 이산해(李山海) 등으로써 이름난 한산이씨는 조선시대 상신 4명, 대제학(大提學) 2명, 청백리(淸白吏) 5명, 공신 12명과 문과 급제자 195 명을 배출했다.

    이종선(李種善)은 명문으로서 여흥부사 등을 지내고 1417년 풍해도와 충청도의 도관찰사를 역임한 후 문성유후(門城留後)에 이어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냈다.
    이맹균은 1385년 문과에 급제, 성균직학(成均直學)을 거쳐 조선개국 후 1418년 충청도관찰사가 되고 이듬해 한성부윤을 지냈으며 1425년 진위사(陳尉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이조와 병조의 판서, 대사헌 등을 거쳐 우찬성(右贊成)에 이어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다.

    고려말의 석학(碩學)이요, 대유(大儒)로서 조선조 성리학 발전에 공헌한 이색은 원나라 제과에 급제, 공민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다. 조선이 개국하자 여주, 장흥 등지로 유배되고 끝까지 절개를 지키다가 여강(驪江)으로 가던중 간신들에의해 주중폭사(舟中暴死)하였다.
    유명한 사육신의 한사람인 이개 또한 한산이씨 가문을 불사이군의 충절로서 빛낸 인물이었다. 그는 1436년 문과에 급제하여 훈민정음의 창제에 참여, 1447년 문과중시에 급제한 뒤 1456년 직제학에 이르렀다. 성삼문(成三門), 박팽년(朴彭年)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죽음을 당하였다.

    근세인물로는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였던 월남(月南) 이상재(李商在)를 들 수 있다.
    주요 인물
    이개(李塏)이상재(李商在)이색(李穡)이원복(李元馥)이인직(李人稙)
    이지함(李之菡)이거원(李巨源)이경류(李慶流)이경재(李景在)이경전(李慶全)
    이경직(李耕稙)이경함(李慶涵)이경항(李景沆)이계린(李季疄)이계전(李季甸)
    이곡(李穀)이관직(李觀稙)이광정(李光靖)이규령(李奎齡)이기(李墍)
    이기조(李基祚)이기중(李箕重)이기하(李基夏)이남규(李南珪)이대직(李大稙)
    이덕수(李德洙)이덕연(李德演)이덕중(李德重)이덕형(李德泂)이동직(李東稷)
    이령(李翎)이만직(李萬稷)이맹균(李孟畇)이맹진(李孟畛)이명의(李明誼)
    이명직(李明稙)이목(李穆)이무(李袤)이민채(李敏采)이병상(李秉常)
    이병성(李秉成)이병연(李秉淵)이병태(李秉泰)이봉(李封)이사관(李思觀)
    이사인(李士仁)이산보(李山甫)이산해(李山海)이상정(李象靖)이선(李䆄)
    이성령(李星齡)이성연(李聖淵)이성원(李性源)이세연(李世演)이수경(李壽慶)
    이수득(李秀得)이수보(李秀輔)이수언(李秀彦)이수일(李秀逸)이숙묘(李叔畝)
    이숙복(李叔福)이숙치(李叔畤)이순효(李純孝)이승순(李承純)이실춘(李實椿)
    이언호(李彦浩)이여(李畬)이여발(李汝發)이영은(李永垠)이예견(李禮堅)
    이용규(李容珪)이용직(李容稙)이우규(李祐珪)이운(李耘)이운영(李運永)
    이유청(李惟淸)이윤영(李胤永)이이장(李彝章)이자(李耔)이정기(李廷虁)
    이정호(李挺豪)이종덕(李鍾德)이종선(李種善)이종학(李種學)이종학(李鍾學)
    이증(李增)이지명(李知命)이지번(李之蕃)이진구(李鎭求)이집(李潗)
    이철경(李喆卿)이청(李淸)이축(李蓄)이치(李穉)이태연(李泰淵)
    이태중(李台重)이태직(李台稙)이파(李坡)이필중(李必重)이하징(李夏徵)
    이해우(李海愚)이해응(李海應)이해창(李海昌)이행(李涬)이행원(李行源)
    이현영(李顯英)이현정(李顯靖)이홍연(李弘淵)이홍재(李洪載)이홍적(李弘迪)
    이홍조(李弘祚)이홍직(李弘稙)이후(李厚)이훈(李塤)이휘조(李徽祚)
    이흡(李洽)이흥발(李興浡)이희갑(李羲甲)이희연(李羲淵)이희준(李羲準)
    이희평(李羲平)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기성(李基聖, 1656 丙申生) : 문과(文科) 숙종32년(170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영은(李永垠) : 문과(文科) 세조3년(1457) 중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이봉(李封, 1441 辛酉生) : 문과(文科) 세조11년(1465) 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이승구(李承九, 1833 癸巳生) : 문과(文科) 철종4년(1853)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우재(李愚在, 1765 乙酉生) : 문과(文科) 순조4년(180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유춘(李○春, 1701 辛巳生) : 문과(文科) 숙종43년(1717) 별시3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정기(李廷夔, 1612 壬子生) : 문과(文科) 인조26년(1648)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자(李○, 1480 庚子生) : 문과(文科) 연산군10년(150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출(李○) : 문과(文科) 중종30년(1535)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거원(李巨源, 1685 乙丑生) : 문과(文科) 숙종43년(1717)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75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00명, 무과 36명, 생원진사시 518명, 의과 2명, 음양과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기도 광주, 포천, 가평, 용인군
    -강원도 회양군 상북면
    -충북 청원군 북일면
    -충남 공주, 대덕, 보령, 예산군, 서천군 한산면,
    -전북 옥구군 성산면 도암리
    -황해도 해주군
    -함경북도 경성군
    항렬자

     호장공계 대동항렬표(목은을 1세로)
    17世
    ○재(在)
    18世
    승(承)○
    19世
    ○직(稙)
    20世
    ○규(珪)
    21世
    ○구(求)
    22世
    ○복(馥)
    23世
    ○원(遠)
    24世
    ○준(濬)
    ○수(洙)
    ○식(湜)
    25世
    ○석(䄷)
    ○화(禾)
    ○선(秈)
    26世
    ○균(均)
    ○응(膺)
    ○배(培)
    ○민(珉)
    27世
    ○순(淳)
    ○호(灝)
    ○양(洋)
    ○현(泫)
    28世
    ○내(來)
    ○수(穗)
    영(穎)○
    기(䄫)○
    29世
    ○용(瑢)
    ○락(珞)
    30世
    ○홍(洪)
    ○문(汶)
    31世
    균(囷)○
    ○소(稣)
    32世
    계(桂)○
    보(珤)○
    33世
    ○광(洸)
    ○왕(汪)
    34世
    ○진(秦)
    ○승(乘)
    35世
    ○영(瑩)
    ○천(玔)
    36世
    ○황(滉)
    ○철(澈)
    37世
    ○수(垂)
    ○교(矯)
    38世
    ○숙(琡)
    ○수(垂)
    민(玟)○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4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8世孫은 1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서천
    한산(韓山)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 때에는 마산현(馬山縣), 우두성(牛頭城)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가림군(嘉林郡: 林泉)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한산으로 고쳤다. 1175년(명종 5) 감무(監務)를 두었고 홍산(鴻山)을 겸임하였고, 후에 지한주사(知韓州事)로 승격되었다가 1413년(태종 13) 한산군(韓山郡)이 되었다. 1895년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 한산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충청남도 한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서천군에 병합되어 지금은 한산면으로 남아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한산이씨는
    1985년에는 28,471가구 119,180명, 2000년에는 42,005가구 136,61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6,86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