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한산이씨(韓山李氏)
유래
시조 : 이윤경(李允卿), 이윤우(李允佑)
한산이씨는 같은 뿌리이면서 시조를 달리하는 두 계통이 있다. [ 호장공계 ] 한산이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호장공계의 시조는 고려 숙종 때 호족으로서 권지호장직(權知戶長職)에 오른 이윤경(李允卿)이다. 그러나 시조라 할 중시조는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아버지인 이곡(李穀)이다. 이곡은 당대의 대문장가이며, 우탁 이동(易東), 포은 정몽주(鄭夢周)와 더불어 경학(經學)의 대가였으며 고려 충숙왕 7년 문과에 급제하고 원나라 제과(制科)에도 급제하여 벼슬이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이색이 1362년 홍건적의 난에 왕을 호종하여 공을 세워 한산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한산으로 하였다. [ 권지공계(權知公系) ] 시조 이윤우(李允佑)는 고려시대에 문과에 올라 왕의 신임을 얻어 동생 이윤경과 함께 각각 한산이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호장공계의 족보에는 두사람이 형제였다는 내용이없다. 권지공계는 여러대를 독자로 자손을 이어 왔으므로 아는 사람이 드믈고 현달한 사람도 없다. 인물
고려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인 이색(李穡)을 비롯하여 사육신의 한 사람인 이개, 대문장가 이산해(李山海) 등으로써 이름난 한산이씨는 조선시대 상신 4명, 대제학(大提學) 2명, 청백리(淸白吏) 5명, 공신 12명과 문과 급제자 195 명을 배출했다.
이종선(李種善)은 명문으로서 여흥부사 등을 지내고 1417년 풍해도와 충청도의 도관찰사를 역임한 후 문성유후(門城留後)에 이어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냈다. 이맹균은 1385년 문과에 급제, 성균직학(成均直學)을 거쳐 조선개국 후 1418년 충청도관찰사가 되고 이듬해 한성부윤을 지냈으며 1425년 진위사(陳尉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이조와 병조의 판서, 대사헌 등을 거쳐 우찬성(右贊成)에 이어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다. 고려말의 석학(碩學)이요, 대유(大儒)로서 조선조 성리학 발전에 공헌한 이색은 원나라 제과에 급제, 공민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다. 조선이 개국하자 여주, 장흥 등지로 유배되고 끝까지 절개를 지키다가 여강(驪江)으로 가던중 간신들에의해 주중폭사(舟中暴死)하였다. 유명한 사육신의 한사람인 이개 또한 한산이씨 가문을 불사이군의 충절로서 빛낸 인물이었다. 그는 1436년 문과에 급제하여 훈민정음의 창제에 참여, 1447년 문과중시에 급제한 뒤 1456년 직제학에 이르렀다. 성삼문(成三門), 박팽년(朴彭年) 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죽음을 당하였다. 근세인물로는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였던 월남(月南) 이상재(李商在)를 들 수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기성(李基聖, 1656 丙申生) : 문과(文科) 숙종32년(170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영은(李永垠) : 문과(文科) 세조3년(1457) 중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이봉(李封, 1441 辛酉生) : 문과(文科) 세조11년(1465) 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이승구(李承九, 1833 癸巳生) : 문과(文科) 철종4년(1853)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우재(李愚在, 1765 乙酉生) : 문과(文科) 순조4년(180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유춘(李○春, 1701 辛巳生) : 문과(文科) 숙종43년(1717) 별시3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정기(李廷夔, 1612 壬子生) : 문과(文科) 인조26년(1648)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자(李○, 1480 庚子生) : 문과(文科) 연산군10년(150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출(李○) : 문과(文科) 중종30년(1535)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이거원(李巨源, 1685 乙丑生) : 문과(文科) 숙종43년(1717)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75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00명, 무과 36명, 생원진사시 518명, 의과 2명, 음양과 2명) 세거지
-경기도 광주, 포천, 가평, 용인군
-강원도 회양군 상북면 -충북 청원군 북일면 -충남 공주, 대덕, 보령, 예산군, 서천군 한산면, -전북 옥구군 성산면 도암리 -황해도 해주군 -함경북도 경성군 항렬자
호장공계 대동항렬표(목은을 1세로)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서천
한산(韓山)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 때에는 마산현(馬山縣), 우두성(牛頭城)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가림군(嘉林郡: 林泉)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한산으로 고쳤다. 1175년(명종 5) 감무(監務)를 두었고 홍산(鴻山)을 겸임하였고, 후에 지한주사(知韓州事)로 승격되었다가 1413년(태종 13) 한산군(韓山郡)이 되었다. 1895년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 한산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충청남도 한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서천군에 병합되어 지금은 한산면으로 남아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한산이씨는
1985년에는 28,471가구 119,180명, 2000년에는 42,005가구 136,61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6,861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