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한양이씨(漢陽李氏)
    유래
    한양이씨(漢陽李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윤종(李胤宗, 1629 己巳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이상립(李尙立, 1602 壬寅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동성(李東成, 1795 乙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16년(1816) 식년시 삼등(三等)
     이경필(李景弼, 1737 丁巳生) : 역과(譯科) 영조50년(1774) 증광시 ()
     이몽규(李夢奎, 1704 甲申生) : 역과(譯科) 영조2년(1726) 식년시 ()
     이몽표(李夢豹, 1706 丙戌生) : 의과(醫科) 영조3년(1727) 증광시
    * 모두 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2명, 생원진사시 1명, 역과 2명, 의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서울특별시
    한양(漢陽)은 현재 서울특별시에 해당하는 옛 지명으로 사람이 정착해 살기 시작한 것은 이미 선사시대부터이다. 백제 371년(근초고왕 26) 백제가 먼저 이 지역을 점령하고 한산이라 하였고, 392년(고구려 광개토대왕 2) 한때 이 지역을 점령했고, 475년(장수왕 63)에는 북한산주 설치하였다.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553년(신라 진흥왕 14) 신주(新州)로 개칭하였다가 557년(진흥왕 18) 9주 중 한산주(漢山州)에 속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한주(漢州)라 개칭하면서 서울 일원을 한양군(漢陽郡)으로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12목의 하나인 양주목(楊州牧)으로 승격되었고, 1067년(문종 21)에는 3경의 하나인 남경(南京)이 되었다가 1308년(충렬왕 34) 한양부(漢陽府)로 개칭하였다. 1393년(태조 3)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하고 이듬해 한성부(漢城府)로 개칭하였고 도성을 중심으로 성저 10리에 이르는 5부(東部·西部·南部·北部·中部) 52방(坊)의 행정구역을 확정하였다. 1399년(정종 1)에는 수도를 개성으로 옮겼다가 6년후인 1405년(태종 5)에 한성으로 환도한 일이 있고, 1592년(선조 25)에는 임진왜란으로 의주에 파천하였다가 그 이듬해에 환도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한성군으로 격하되었다가 1896년 한성부로 환원되었고, 1910년에는 경성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1945년에 서울시로 개편하고, 1949년 서울특별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에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가 비로소 이루어져 지방자치의 시대를 열었다.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에서 광진구, 도봉구에서 강북구, 구로구에서 금천구가 분구되어 관할구가 25개로 늘어났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한양이씨는
    1985년에는 163가구 872명, 2000년에는 337가구 1,09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62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