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함풍이씨(咸豊李氏, 함평)
    유래
     시조 : 이광봉(李光逢)
    시조 이광봉(李光逢)은 고려 고종 때 출생하여 충숙왕 때 서거하신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의 유명한 재상이다. 배위(配位)는 금성군부인 금성나씨이다.

    시조 이광봉은 고려 충렬왕 31년에 정당문학에 오르고, 충선왕 원년에 판전학사에 임명되었다. 충숙왕 원년에는 상호군이 되고, 충숙왕 6년에 동지밀직사사에 오른 후 7년에 문하부평리에 올랐다. 충숙왕 11년에 심왕(瀋王) 왕고(王暠, 충렬왕의 손자)를 위하여 원의 중서성에 글을 올린 자들을 모두 파면하는 날에 시조 이광봉을 삼사사에 임명하였고 벽상삼한삼중대광보국좌명공신 함풍부원군(碧上三韓三重大匡輔國 左命功臣咸豊府院君)에 훈봉하였다.

    본관을 함풍으로 삼게 된 것은 고려 때 시조 이광봉이 함풍부원군(府院君)에 봉해진 데에서 연유한다. 함평이씨도 있으나 본래는 함풍이씨였으며 함풍이씨와 같은 본관이다.

     시조 묘는 전남 함평읍 만흥리 산 16 번지에 영풍사 사당 옆에 유택이 모셔저 있으며, 세일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에 지낸다.
    인물
    시조로 부터 5대에 이르러 이인좌(李仁佐), 이인형(李仁衡), 이준성(李俊成)祖와 이인원(李仁元), 이인관(李仁琯), 이인계(李仁桂), 이인검(李仁檢), 이인문(李仁問) 이후 자손이 크게 번창하여 여러 파로 분파 되었다.

     이긍(李兢:1389~1433) 조선 태종 5년 1405년 증광시(增廣試) 병과에 급제한 후 1427년(세종 9년) 중시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 교리, 공조참판,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예문관 대제학 등의 요직을 두루 거쳐 이조판서와 기성군(箕城君)에 봉해지고, 1433년 사신으로 중국에 가서 성삼문과 같이 접영시에 급제한 일은 유명하다

     이안(李岸, 9세손 영파정) : 조선시대 1455년에 단종의 폐위와 세조의 왕위 찬탈을 못 마땅히 여기고 벼슬을 마다 하고 세태에 비분강개하여 신말주(사육신 신숙주의 아우) 와 같이 기관에 낙향 하였는데 신말주는 전북 순창에 귀래정을 짓고 은거 하였으며, 이안은 향리 함평 기산 영수간에 정자를 지어 영파정이라 이름하고 두문불출하였다. 세조가 두 차례나 지평(사헌부)장령으로 불러도 불사한 단종의 유신으로 불사이군의 대의를 만천하에 밝혀 절의를 지킨 백세 청풍의 고결한 충절신(忠節臣)이다.

     이만영(李萬榮, 12세손, 죽음공) : 중종33년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고 벼슬이 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을 역임하였다.

     이장영(李長榮, 12세손, 죽곡공)은 명종13년 식년문과와 선조19년 중시갑과에 두 번이나 장원급제하였고, 함양군수 등을 거쳐 선공감정(繕工監正)과 통정(通政), 관직은 부사에 이르러, 사간원 대사간을 지냈다.

     이덕일(李德一, 13세손, 칠실공) 장군은 선조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이 되어 왜적과 싸웠다. 그는 화살하나로 두명의 적을 쓰러트릴 만큼 활솜씨가 뛰어나 이같은 용맹이 알려져 이순신장군의 참모로 등용되어 임진왜란을 종결시키는데 크게 공을 세워 절충(折衝)장군 정3품에 올랐으나 나라의 위기 때에도 당파싸움만 일삼는 대신들에 환멸을 느끼고 고향에 돌아와 움막 칠실(漆室)에 들어앉아 "우국 충절가 28 수"를 남겼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운봉(李雲鳳, 1673 癸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4년(1708) 식년시 이등(二等)
     이익(李○, 162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3년(1652) 증광시 삼등(三等)
     이사성(李師聖, 1671 辛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6년(1710) 증광시 이등(二等)
     이익빈(李益○, 1599 己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년(1624) 증광시 이등(二等)
     이휘(李暉, 1597 丁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0년(1642) 식년시 이등(二等)
     이유형(李惟馨, 1601 辛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0년(1642) 식년시 삼등(三等)
     이숙빈(李淑○, 1677 丁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43년(1717) 식년시 삼등(三等)
     이돈찬(李敦鑽, 1784 甲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25년(1825) 식년시 삼등(三等)
     이태오(李泰五, 1706 丙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17년(1741) 식년시 삼등(三等)
     이숙빈(李淑○, 1677 丁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43년(1717)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생원진사시 1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전남 함평군 나산면 초포리
     전남 영광군 대마면 남산리
     전남 나주시 봉황면 용전리
     전남 무안군 해제면 덕산리
     전남 장성군,광주광역시 전역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임천리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경기 평택 포승면,현덕면 ,여주
     경남 밀양시 부북면
     전북고창군 성내면, 흥덕면, 해리면전북 정읍시 송산동
     충남 부여군 석성면
     충남 논산군 연산면
     충남 예산군 고덕면 몽곡리
     충남 당진군 신평면 초대리
     충남 공주시 계룡면 월암리
    항렬자
    19世
    유(儒)○
    20世
    ○서(緖)
    21世
    민(敏)○
    돈(敦)○
    22世
    ○모(模)
    ○헌(憲)
    23世
    ○환(煥)
    계(啓)○
    24世
    ○기(基)
    ○범(範)
    25世
    종(鍾)○
    ○열(烈)
    재(載)○
    26世
    ○수(洙)
    교(敎)○
    ○행(行)
    27世
    근(根)○
    건(建)○
    28世
    ○훈(勳)
    ○성(聖)
    ○현(賢)
    29世
    기(起)○
    규(奎)○
    30世
    ○회(會)
    ○선(善)
    31世
    원(源)○
    태(泰)○
    32世
    ○식(植)
    33世
    현(炫)○
    희(熙)○
    34世
    ○균(均)
    ○기(基)
    35世
    석(錫)○
    진(鎭)○
    호(鎬)○
    36世
    ○수(洙)
    37世
    병(秉)○
    38世
    ○열(烈)
    ○유(裕)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0世孫은 19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함평군
    함풍(咸豊)은 전라남도 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함풍(咸豊)과 모평(牟平) 두개 현이 합쳐진 함평(咸平)의 옛 지명이다. 선사시대에는 진국,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하였다. 백제 때 굴내현(屈乃縣: 또는 屈奈縣)·다지현(多只縣)에 속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굴내현은 함풍현(咸豊縣)으로, 다지현은 다기현(多岐縣)으로 개칭되어 무안군에 이속되었다. 고려 태조 때 다기현을 모평현(牟平縣)으로 바꾸었고, 1018년(현종 9) 영광군의 속현이 되었다가 1172년(명종 2) 감무가 파견되었다. 1409년(태종 9) 모평현(牟平縣)과 합하여 함평현으로 개편하였다. 기성(箕城)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 함평군이 되었다가, 1896년 전라남도 함평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10개 면으로 줄었으며, 1932년 식지면과 평릉면을 합병하여 나산면으로 신설, 9개 면이 되었다. 1963년 함평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함풍이씨는
    1985년에는 1,487가구 7,162명, 2000년에는 2,025가구 6,41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8,55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