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합천이씨(陜川李氏)
    유래
     시조 : 이개(李開)
    시조 이개(李開)는 신라 말에 벼슬하여 강양(江陽 : 지금의 합천)군에 봉해졌고 고려가 건국되자 불사이군의 절의를 지켜 태조의 부름을 거역 가수현장(嘉樹縣長)으로 강등되었다가 합천호장(陜川戶長)이 되었기 때문에 그를 시조로 삼고 합천을 본관으로 하고 있다.
    그의 조상은 신라 6촌중 하나인 알천 양산촌의 촌장 알평이다.

    -묘소는 경남 합천군 용주면 월평리에 있으며 향사일은 음력 10월 1일이다.
    인물
    고려시대에 이문저(李文著)는 음보로 벼슬에 나가 이부시랑, 상서좌승 등을 거쳐 1179년 김자광록대부 수사공특진 상서우복야 태자소보(金紫光祿大夫 守司空特進 尙書右僕射 太子少保)에 이르렀다.
    이순목(李淳牧)은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좌복야(左僕射)를 지냈고, 이신손(李信孫)은 좌서윤(左庶尹)을 지냈으며, 이덕손(李德孫)은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이승로(李承老)는 충목왕 때 밀직사사를 지내고 1354년 지밀직사사에 이어 정당문학에 승진한 후 강양백(江陽伯)에 봉해졌으며, 이운목(李云牧)은 전리판서(典理判書)를 지냈다.

    조선 중종 때의 이복로(李福老)는 1495년 사마시를 거쳐 1513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봉상사판관(奉常寺判官) 등을 거쳐 초계군수를 지냈다.
    이윤검(李允儉)은 1472년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지냈고, 중종때의 이희민(李希閔)은 1516년 별시문과에 급제, 이조정랑을 지냈으며, 이희증(李希曾)은 수찬(修撰)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희안(李希顔)은 14세 때 사마시에 합격하여, 참봉을 거쳐 고령현감으로 부임했으나 곧 사직하고 고향에서 학문에 전심했으며, 이윤서(李胤緖)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곽재우와 더불어 공을 세우고 이괄의 난때 순절하여 형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이태경(李台卿)과 이중필(李重弼)은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이 되고, 가선대부(嘉善大夫), 공조참판(工曺參判)에 추증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광전(李光前) : 문과(文科) 명종1년(1546) 식년시 병과(丙科)
     이윤희(李胤禧) : 문과(文科) 선조1년(1567) 증광시 병과(丙科)
     이적(李迪) : 문과(文科) 중종8년(1513) 식년시 병과(丙科)
     이언림(李彦霖, 1704 甲申生) : 문과(文科) 영조26년(1750) 식년시 갑과(甲科)
     이도남(李圖南, 1496 丙辰生) : 문과(文科) 중종28년(1533) 별시 병과(丙科)
     이희증(李希曾, 1486 丙午生) : 문과(文科) 연산군12년(1506) 별시 정과(丁科)
     이희민(李希閔, 1498 戊午生) : 문과(文科) 중종11년(1516) 별시 병과(丙科)
     이복로(李福老, 1469 己丑生) : 문과(文科) 중종8년(1513) 식년시 병과(丙科)
     이세구(李世球) : 문과(文科) 중종28년(1533) 별시 병과(丙科)
     이세림(李世琳) : 문과(文科) 중종38년(1543) 식년시 을과(乙科)
    등 모두 16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1명, 무과 28명, 생원진사시 39명, 역과 8명, 의과 3명, 음양과 7명, 율과 1명, 주학 64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남 합천군 합천면
    -충남 논산군
    -경남 산청군 단성면
    항렬자
    25世
    용(鎔)○
    전(銓)○
    26世
    ○영(永)
    ○홍(洪)
    27世
    정(楨)○
    환(桓)○
    28世
    ○섭(燮)
    ○훈(勳)
    29世
    채(採)○
    진(珍)○
    30世
    ○현(鉉)
    ○탁(鐸)
    31世
    한(漢)○
    해(海)○
    32世
    ○식(植)
    ○래(來)
    33世
    환(煥)○
    형(炯)○
    34世
    ○기(基)
    ○균(均)
    35世
    호(鎬)○
    수(銖)○
    36世
    ○순(淳)
    ○식(湜)
    37世
    근(根)○
    두(枓)○
    38世
    ○열(烈)
    ○엽(燁)
    39世
    재(在)○
    재(載)○
    40世
    ○석(錫)
    ○용(鏞)
    41世
    태(泰)○
    호(浩)○
    42世
    ○상(相)
    ○림(林)
    43世
    희(熙)○
    경(炅)○
    44世
    ○배(培)
    ○곤(坤)
    45世
    순(錞)○
    진(鎭)○
    46世
    ○수(洙)
    ○기(淇)
    47世
    동(東)○
    영(榮)○
    48世
    ○병(炳)
    ○홍(烘)
    49世
    규(圭)○
    민(玟)○
    50世
    ○종(鍾)
    ○흠(欽)
    51世
    -
    52世
    -
    53世
    -
    5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6世孫은 2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합천
    합천(陜川)은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속한 지역이었다. 565년(신라 진흥왕 26) 대량주(大良州) 또는 대야주(大耶州)라고 부르다가, 757년(경덕왕 16) 강양군(江陽郡)으로 개칭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왕비 이씨의 고향이라 하여 합주군(陜州郡)으로 승격되었고, 거창군(居昌郡)을 속군으로, 삼기현(三岐縣)·야로현(冶爐縣) 등 11개현을 속현으로 관할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합천군으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관할구역은 합천면·율곡면·대양면·용주면·봉산면·묘산면·야로면·가야면으로 축소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합천군이 되었다가, 1896년 경상남도로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합천군에 초계군·삼가군을 병합시켰고, 1979년에 합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합천이씨는
    1985년에는 23,951가구 98,595명, 2000년에는 36,411가구 115,46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21,416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계파
    교리공파(校理公派), 사공파(牧使公派), 병사공파(兵使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 사간공파(司諫公派), 사인공파(舍人公派),
    상서공파(尙書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전객령공파(典客令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 제학공파(提學公派), 참지공양실파(參知公良實派),
    참지공양진파(參知公良眞), 첨사공파(詹事公派), 판사공파(判事公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