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홍주이씨(洪州李氏)
    유래
     시조 : 이유성(李維城)
    시조 이유성(李維城)은 고려 대장군 이한(李翰)의 아들이다.
    이유성(李維城)은 1202년 지합문사(知閤門事) 로 경주에서 이비(利備), 패좌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초토처치병마우도부사(招討處置兵馬右道副使)가 되어 우도사(右道使) 강순의(康純義)와 함께 출정하여 난을 평정했다. 고려 신종초에 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가 되었다.

    9세손인 이기종(李起宗)이 내시연경관제학(內侍延慶官提學)으로 홍양(洪陽. 홍주의 옛이름)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지면서 본관을 홍주로 하고 있다.
    인물
    2세손인 이청소는 고려시대에 평장사를 지냈고, 이응송(李應松)은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를 지냈으며 이연수(李延壽)는 1216년 우승선(右承宣), 1221년 판리부사(判吏部事), 이듬해 수태보주국(守太保柱國)을 거쳐 문하시중이 되었다.

    조선시대의 이서(李舒)는 1357년 문과에 급제하여 1392년 조선개국공신 3등으로 안평군에 봉해지고 태종 즉위 후 우정승으로 부원군에 진봉(進封)되고 고명사(誥命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영의정에 올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선조때의 이종장(李宗張)은 1569년 무과중시에 급제 1592년 임진왜란 때 충주목사로서 도원수 신립의 조방장(助防將)이 되어 참전, 순절하므로써 병조판서에 추증되었고, 홍평군에 봉해졌다.
    이희건(李希建)은 무과에 급제하여 1624년 용천부사로서 이괄의난을 토평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 2등으로 홍양군에 봉해졌다. 그는 1627년 정묘호란 때 전사, 좌찬성에 추증되었고 용천의 충렬사와 안주의 충민사에 제향되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행도(李行道, 1650 庚寅生) : 문과(文科) 숙종10년(1684) 식년시 병과(丙科)
     이무일(李無逸, 1544 甲辰生) : 문과(文科) 선조6년(1573) 식년시 병과(丙科)
     이익하(李益河, 1812 壬申生) : 문과(文科) 고종22년(1885) 별시 을과(乙科)
     이철남(李喆南, 1828 戊子生) : 문과(文科) 철종3년(1852) 식년시 병과(丙科)
     이도남(李道南, 1811 辛未生) : 문과(文科) 철종10년(1859) 증광시 병과(丙科)
     이구정(李龜禎, 1676 丙辰生) : 문과(文科) 경종1년(1721) 식년시 갑과(甲科)
     이인승(李仁承, 1762 壬午生) : 문과(文科) 순조13년(1813) 증광시 병과(丙科)
     이인적(李仁迪, 1768 戊子生) : 문과(文科) 순조4년(1804) 식년시 병과(丙科)
     이견룡(李見龍, 1540 庚子生) : 무과(武科) 명종19년(1564) 식년시 병과(丙科)
     이연춘(李延春, 1553 癸丑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을과(乙科)
    등 모두 5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8명, 무과 15명, 생원진사시 30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충남 홍성군 일대와 평남 강동군
    -충남 서천군 종천면
    -경기도 개풍군 청교면 광답리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
    홍주(洪州)는 충청남도 홍성군(洪城郡)에 속해 있는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사시량현(沙尸良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평현(新平縣)으로 개칭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운주(運州)로 개편하여 도단련사(都團練使)를 파견하였다가 1012년(현종 3) 도단련사를 폐지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둔 후 홍주(洪州)로 개칭하였다. 1356년(공민왕 5)에 홍주목(洪州牧)으로 승격하었다. 조선시대에는 현종 때 잠시 홍양현(洪陽縣)으로 되었다가 곧 복구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가 되었다가, 1896년 도제 실시로 충청남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홍주부를 폐지하여 일부는 청양군(靑陽郡)에 속하고 그 나머지는 홍주면으로 축소되어 결성군(結城郡) 일원과 병합한 홍성군으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홍주이씨는
    1985년에는 2,866가구 11,435명, 2000년에는 4,733가구 14,89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96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