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이몽(李蒙)
시조 이몽(李蒙)은 능양군(綾陽君)의 후손으로 나라에 공을 세워 회덕군(懷德君)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회덕을 본관으로 하였다.
묘소는 상망월리에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대전광역시
회덕(懷德)은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동구와 대덕구 일대에 있던 옛 지명이다. 백제 때에는 우술군(雨述郡) 또는 후천(朽淺)이라 부르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비풍군(比豊郡)으로 개칭하였고, 유성현(儒城縣)과 적오현(赤烏縣)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회덕현으로 이름을 바꾸어 1018년(현종 9) 공주(公州)에 편입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설치하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군현제 개편으로 회덕현으로 정해진 이래 조선시대 명맥이 이어졌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 회덕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남도 회덕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회덕군이 폐지되고 진잠면(鎭岑面) 일원과 공주군 현내면(縣內面)을 합하여 대전군(大田郡)으로 개칭되었다. 1935년 대전부로 승격됨에 따라 대덕군이 신설되었다. 1949년 대전부가 대전시로 개편되었고, 1989년 대덕군이 대전직할시로 편입되어 대덕구가 신설되었다가, 1995년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회덕이씨는
1985년에는 83가구 338명, 2000년에는 68가구 22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