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흥양이씨(興陽李氏)
    유래
     시조 : 이언림(李彦林)
    시조 이언림(李彦林)은 고려 의종 때에 병부상서(兵府尙書), 공부성서(工部尙書),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등 요직을 역임했으며 그후 흥양에 낙향하여 살면서 후손이 본관을 흥양으로 하였다.
    인물
    고려시대에 이중성(李仲成)은 장령(掌令)을 지냈고, 이근(李斤)은 부사(府使)를 지냈으며 이배근(李培根)은 판서(判書)를 역임하였다. 이언(李堰)은 부사를 지냈는데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조선시대의 이준(李埈)은 1591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가 되고 다음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싸운 공으로 형조좌랑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다음해에 경상도 도사(都事)로 나갔다. 이때 중국 역대왕들의 덕행과 신하들의 정사를 밝힌 "중앙전감(中央典鑑)"을 편술하여 왕에게 바쳤다. 그후 지평(持平)을 거쳐 예조정랑, 단양군수, 수선, 교리, 집의, 응교, 전한 등을 역임하고 1627년 정묘호란에 공을 세워
    첨지중추부사에 이어 부제학에 올랐다. 그는 경북 상주에 있는 옥성서원에 제향되어진다.
    이전은 일찌기 주자학을 깊이 연구하여 학문으로 이름을 떨쳤고, 1603년 사마시에 합격, 세마(洗馬), 지례(知禮)현감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퇴하고 평생을 학문에 전심했다.
    이원경(李元卿)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했고, 고향에서 학문에 전심하다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군수물자를 모아 싸움터에 보내는 등 공을 세웠다. 뒤에 효행으로 천거를 받아 군자감봉사(軍資監奉事)를 지냈다. 그의 마을앞에 효자리(孝子里)라고 새긴 표석(表石)이 세워졌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운준(李云俊) : 문과(文科) 세종11년(1429)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이영(李○, 1765 乙酉生) : 문과(文科) 정조13년(1789) 식년시 병과(丙科)
     이증록(李增祿, 1674 甲寅生) : 문과(文科) 숙종34년(1708) 식년시 병과(丙科)
     이원규(李元圭, 1597 丁酉生) : 문과(文科) 인조17년(1639) 별시 병과(丙科)
     이준(李埈, 1560 庚申生) : 문과(文科) 선조24년(1591) 별시 병과(丙科)
     이운봉(李芸奉) : 문과(文科) 단종1년(1453) 증광시 정과(丁科)
     이재용(李在容, 1595 乙未生) : 문과(文科) 현종1년(1660) 식년시 병과(丙科)
     이재정(李在定)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이재중(李在中)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이준(李埈, 1560 庚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15년(1582)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2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7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16명, 의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전북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전남 담양군 봉산면 연명동, 광산군
    -전남 고흥군 풍양면 보천리
    -경북 군위군 부계면 창평동, 부계군 춘산동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고흥
    흥양(興陽)은 전라남도 고흥군 일원의 옛 지명이다. 고려 초에는 고이부곡(高伊部曲) 또는 묘부곡(猫部曲)이라 하였다가, 1285년(충렬왕 12)에 고흥현(高興縣)으로 승격되었다. 1395년(태조 4)에 보성군 조양현(兆陽縣)에 합속되었다가, 1397년에 진(鎭)을 설치하고 병마사(兵馬使)로 현감(縣監)을 겸임하게 하였다. 1441년(세종 23)에는 장흥부(長興府) 두원현(豆原縣)으로 이관하였고, 보성군의 남양현(南陽縣) 등을 분할 편입하여 흥양현(興陽縣)으로 개편되었다. 1896년(고종 33) 전라남도 흥양군이 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흥양군의 일부와 돌산군의 일부를 고흥군으로 통합하였다. 1979년 고흥면이 고흥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흥양이씨는
    1985년에는 3,450가구 13,829명, 2000년에는 5,305가구 16,97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2,78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