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교동인씨(喬桐印氏)
    유래
     시조 : 인서(印瑞)
    중국에서 건너온 성씨인 교동인씨(喬桐印氏)는 좌씨전(左氏傳)과 계고집성(稽古集成)에 그 유래가 기록되어 있는데, 중국 정(鄭)나라 목(穆)의 증손 가운데 인단(印段)이 조부의 이름인 자인(子印)의 인(印) 자를 따서 성씨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시조 인서(印瑞)는 중국 사람으로 진(晉)나라 풍익(馮翊) 땅에서 대부(大夫)라는 벼슬을 하다가 300년(신라 기림왕 3년) 사신으로 신라에 들어 왔다가 정착하여 살면서 아찬의 벼슬지냈다. 그의 후손 인빈(印份, 33세손)이 고려 인종 때 한림학사(翰林學士), 문하시사(門下侍史)를 지내고 교수부원군((喬樹府院君, 현재 교동) 에 봉해짐으로써 후손들이 본관을 교동으로 하였다.

    그러나 인빈의 후손에 대한 기록이 없어서 후손 인당(印璫)을 중시조로 하였다. 인당은 고려 공민왕때 서북면 병마사로서 압록강 서쪽의 파사부(婆娑府) 등 삼참(三站)을 공략하고 개척한 공으로 참지정사에 올랐다.

    - 인당의 묘소는 개성시에 있다.
    인물
    인당의 아들 인안(印安)이 전리 판서를, 인해(印海)가 이부시랑을 지냈다. 손자 인원보(印原寶)가 서북면 체찰사, 인중보(印重寶)가 상장군을 각각 역임했다. 대장군을 지낸 인저(印著)와 절충장군 인철관(印鐵寬), 선략장군으로 임진왜란 때 정난원종 이등공신에 오른 인발(印潑), 도총부 부총관 인이헌(印以憲), 참판을 역임한 인명조(印明朝), 인근영(印瑾永), 인석신(印錫信), 인상혁(印相赫) 등이 가문을 빛냈다.

    - 인원보(印原寶, ? ~ 1388년) : 43세손. 1379년(우왕 5) 서북면체찰사(西北面體察使)를 역임하고, 1388년(고려 우왕 14)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에 이르렀다.

    - 인석보(印錫輔, 1852년 ~ 1896) : 1892년(고종 28)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등을 지내고 규장각 부제학(奎章閣副提學)에 추증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인석보(印錫輔, 1852 壬子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별시 병과(丙科)
     인벌(印橃, 1570 庚午生) : 무과(武科) 선조38년(1605) 증광시 병과(丙科)
     인의길(印義吉, 1597 丁酉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인원침(印元忱, 1564 甲子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인의종(印儀宗,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인사헌(印嗣憲, 1628 戊辰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인언광(印彦光, 1535 乙未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인초선(印楚璿, 1606 丙午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을과(乙科)
     인대수(印大水,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인충신(印忠信, 1544 甲辰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11명, 생원진사시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 경상북도 상주군 이안면 여물리
    -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구향리
    - 전라북도 전주시 다가동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용동리
    -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송학리, 죽동리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삼화리, 통정리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낙상리
    - 황해도 평산군
    항렬자
    64世
    ○교(敎)
    ○돈(敦)
    65世
    병(秉)○
    용(庸)○
    66世
    연(演)○
    주(胄)○
    67世
    ○경(卿)
    ○영(迎)
    68世
    진(震)○
    신(晨)○
    69世
    ○범(範)
    ○희(熙)
    70世
    준(準)○
    오(旿)○
    71世
    ○동(東)
    ○래(來)
    72世
    중(重)○
    연(連)○
    73世
    ○연(連)
    ○순(醇)
    74世
    성(成)○
    기(璣)○
    75世
    ○하(夏)
    ○복(馥)
    76世
    -
    77世
    -
    78世
    -
    79世
    -
    80世
    -
    81世
    -
    82世
    -
    83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65世孫은 64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
    교동(喬桐)은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 고목근현(高木根縣) 또는 대운도(戴雲島)·고림(高林)·달을신(達乙新) 등으로 불렸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 교동(喬桐)으로 고쳐 해구군(海口郡: 江華)에 편입되었고, 1174년(명종 2)에 독립하여 감무가 파견되었다. 1395년(태조 4)에 만호(萬戶) 겸 지현사(知縣事)가 파견되었고, 1413년(태종 13)에 교동현으로 현감을 두었다. 1629년(인조 7) 교동도호부(喬桐都護府)로 승격되었으나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강화군에 통합되었다가 1896년 경기도 교동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강화에 병합되었다가 1934년 화개면과 수정면을 통합해 교동면으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교동인씨는
    1985년에는 4,140가구 17,558명, 2000년에는 5,403가구 17,44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0,73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