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풍천임씨(豊川任氏)
    유래
     시조 : 임온(任溫)
    시조 임온(任溫)은 중국 소홍부 자계현 사람으로 그의 6세손 임주(任澍)가 1275년(고려 충렬왕 1년)에 충렬왕의 왕비이며 원나라의 황녀인 제국공주를 따라 우리나라에 들어와 귀화하여 경상도 추동 안찰사를 거쳐 어사대부, 감문위 대장군을 지내고 풍천을 본관으로 하사받았다. 풍천 임씨는 임주의 아들대에서 충숙왕 때 삼사판사 임자송(子松)과 민부전서 임자순(子順)의 두 갈래로 크게 나뉜다.

    - 임주의 묘소는 풍천 전석산 아래에 있으며, 음력 9월 13일에 향사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임성지(任性之, 1582 壬午生) : 문과(文科) 광해군5년(1613)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임영로(任榮老, 1540 庚子生) : 문과(文科) 선조5년(1572)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임원준(任元濬, 1423 癸卯生) : 문과(文科) 세조2년(1456)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임종주(任宗周, 1734 甲寅生) : 문과(文科) 영조48년(1772) 탕평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임한백(任翰伯, 1605 乙巳生) : 문과(文科) 인조20년(1642)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임상원(任相元, 1638 戊寅生) : 문과(文科) 현종6년(1665)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임열(任說) : 문과(文科) 중종31년(1536) 중시 을과(乙科)
     임열(任說) : 문과(文科) 중종33년(1538) 탁영시 을과(乙科)
     임효인(任孝仁) : 문과(文科) 세종9년(1427) 친시 을과(乙科)
     임증(任拯, 1547 丁未生) : 문과(文科) 선조12년(1579)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48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48명, 무과 24명, 생원진사시 308명, 역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5世
    준(準)
    26世
    호(鎬)
    27世
    재(宰)
    28世
    공(公)
    순(淳)
    29世
    빈(彬)
    식(植)
    동(東)
    30世
    혁(赫)
    희(熙)
    열(烈)
    31世
    중(中)
    균(均)
    세(世)
    32世
    종(鍾)
    선(善)
    진(鎭)
    33世
    원(源)
    수(洙)
    한(漢)
    34世
    계(桂)
    상(相)
    구(九)
    35世
    병(炳)
    헌(憲)
    환(煥)
    36世
    효(孝)
    범(範)
    규(圭)
    37世
    현(鉉)
    진(鎭)
    옥(鈺)
    38世
    연(淵)
    우(雨)
    39世
    근(根)
    40世
    열(烈)
    41世
    -
    42世
    -
    43世
    -
    4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6世孫은 2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송화
    풍천(豊川)은 황해도에 있었던 옛 지명으로 고구려 깨에는 구을현(仇乙縣) 또는 굴천(屈遷)이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굴현현(屈峴縣)으로 개칭하고, 양악군(楊岳郡: 安岳)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초에 풍주(豊州)로 이름을 바꾸고, 995년(성종 14) 도호부로 승격하였다가 1018년(현종 9) 군으로 강등되고 방어사(防御使)가 설치되었다. 1395년(태조 6) 진(鎭)이 설치되었고 병마사(兵馬使)가 지주사(知州使)를 겸했으며,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 때 은율(殷栗)을 합병하여 풍율군(豊栗郡)이라 하였다가 곧 분리하였다. 1469년(예종 1) 왕비 안순왕후 한씨의 외향(外鄕)이라 하여 풍천도호부(豊川都護府)로 승격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풍천군이 되어 해주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황해도 풍천군이 되었다. 1909년 풍천군을 폐지하여 송화군(松禾郡)에 합병했으나, 1967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때 대부분의 옛 풍천도호부 지역이 과일군으로 분리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풍천임씨는
    1985년에는 24,682가구 103,108명, 2000년에는 30,974가구 99,98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43,88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