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순천장씨(順天張氏)
    유래
     시조 : 장천노(張天老)
    시조 장천노는 장정필의 10세손인 장유의 둘째 아들이다. 그는 965년(고려 광종 16년) 출생하여 문과에 급제하여 금자광록대부, 중서시랑을 지내고 순천군에 봉해졌으므로 본관을 순천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장문보(張文輔, 1516 丙子生) : 문과(文科) 명종1년(1546) 식년시 병과(丙科)
     장인환(張仁煥, 1835 乙未生) : 문과(文科) 고종8년(1871) 별시 병과(丙科)
     장한신(張漢臣)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장시규(張是奎, 1627 丁卯生) : 무과(武科) 인조26년(1648) 식년시 병과(丙科)
     장호걸(張好乞,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장유득(張有得,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장명생(張明生, 1610 庚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장흡(張洽)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7년(1552) 식년시 이등(二等)
     장이겸(張以謙, 1574 甲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광해군2년(1610) 식년시 일등(一等)
     장우(張遇, 1544 甲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9년(1564)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5명, 생원진사시 7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36世
    인(仁)
    재(在)
    규(奎)
    37世
    호(鎬)
    상(商)
    구(九)
    38世
    락(洛)
    문(汶)
    호(浩)
    39世
    수(秀)
    상(相)
    표(杓)
    40世
    희(熙)
    훈(薰)
    연(然)
    41世
    주(周)
    배(培)
    곤(坤)
    42世
    종(鍾)
    수(銖)
    석(錫)
    43世
    영(永)
    수(洙)
    하(河)
    44世
    병(秉)
    극(極)
    락(樂)
    45世
    열(烈)
    형(炯)
    혁(爀)
    46世
    교(敎)
    재(載)
    효(孝)
    47世
    현(鉉)
    종(鍾)
    선(善)
    48世
    -
    49世
    -
    50世
    -
    51世
    -
    52世
    -
    53世
    -
    54世
    -
    55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7世孫은 3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
    순천(順天)은 전라남도 남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시대에는 함평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승평(昇平)으로 고쳤으며, 983년(고려 성종 2) 지명을 순주(順州)·자주(慈州)·은주(殷州)로 고치고 각 주마다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곤해군절도사(袞海軍節度使)가 파견되고, 1012년(현종 3) 안무사로 고쳤다가, 1036년(정종 2) 다시 승평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때 부유현(富有縣)·돌산현(突山縣)·여수현(麗水縣)·광양현(光陽縣)을 속현(屬縣)으로 거느렸다. 1309년 승주목(昇州牧), 1310년 순천부(順天府)가 되었다.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 때 도호부로 승격하여, 조선시대 동안 순천도호부는 전라좌도 남부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1479년(성종 10) 속현이었던 여수현(麗水縣)에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설치되어 전라좌도 해안방어의 군사적 요충지가 되었다. 순천의 별호는 평양(平陽)이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남원부 소속 순천군으로 개칭하고, 1896년 전라남도 순천군이 되었다. 1949년 8월 순천읍과 도사면 일부 해룡면 일부를 합하여 순천시가 되고 종래의 순천군은 승주군으로 개칭하였다. 1995년 순천시와 승주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의 새로운 순천시가 되었다. 2003년 승주읍과 10면 1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순천장씨는
    1985년에는 2,308가구 9,399명, 2000년에는 3,226가구 10,08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3,31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