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창녕장씨(昌寧張氏)
유래
시조 : 장천익
시조 장천익은 장정필의 후손으로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하여 1228년(고려 고종 15년) 승평판관이 되었으며 직사관을 거쳐 1262년(원종 3년) 전중시어사가 되어 몽고에 다녀온 후 국자제주가 되었으며, 1265년 중서사인으로 다시몽고에 다녀온 후 1263년 예부시랑으로 정조사가 되어 몽고에 다녀 왔다. 1270년 삼별초의 난이 일어나자 대장군으로 경상도 수로방어사가 되어 진도에서 이를 진압하고 동지중추원사가 되어 1274년 충렬왕이 즉위하자 지첨의부사보문서 대학사수국사에 이르고 하산(창녕)군에 봉해지자 본관을 창녕으로 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장희(張禧) : 문과(文科) 연산군4년(1498) 식년시 병과(丙科)
장적(張籍) : 문과(文科) 중종2년(1507) 증광시 병과(丙科) 장계지(張繼池) : 문과(文科) 문종1년(1451) 증광시 을과(乙科) 장응성(張應星, 1449 己巳生) : 문과(文科) 중종17년(1522) 식년시 병과(丙科) 장계증(張季曾) : 문과(文科) 세종24년(1442) 친시 병과(丙科) 장명한(張鳴漢, 1629 己巳生) : 무과(武科) 현종1년(1660) 식년시 병과(丙科) 장적(張迪, 1541 辛丑生) : 무과(武科) 선조17년(1584) 별시 병과(丙科) 장충립(張忠立, 1605 乙巳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병과(丙科) 장흔(張昕)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연산군1년(1495) 증광시 이등(二等) 장심(張諶)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연산군1년(1495) 증광시 이등(二等) 등 모두 1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4명, 역과 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창녕
창녕(昌寧)은 경상남도 북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옛 창녕현(昌寧縣)과 영산현(靈山縣)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다. 본래 삼한시대에 불사국(不斯國), 이후의 빛벌가야(非火伽倻) 지역이었다. 신라에 의해 555년(신라 진흥왕 16) 하주(下州)가 설치되었고, 565년(진흥황 26) 비자화군(比自火郡) 또는 비사벌군(比斯伐郡)으로 개칭되었고, 757년(경덕왕 16)에 화왕군으로 바뀌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창녕군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밀성군(密城郡: 密陽)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창녕군에 속하기도 하였다. 1274년(원종 15)에 영산현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 1414년(태종 14)에 창녕현으로 되었고, 1631년(인조 9) 창녕현이 영산현에 합쳐졌다가 얼마 후에 복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창녕군·영산군이 되었으며, 1896년에 경상남도 창녕군·영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영산군의 일부를 병합하였다. 1960년 창녕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창녕장씨는
1985년에는 1,151가구 4,751명, 2000년에는 1,431가구 4,58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814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