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흥성장씨(興城張氏, 흥덕)
유래
시조 : 장유(張儒)
시조 장유는 상질(흥성)현 사람으로 신라말에 난을 피하여 중국에 들어가 중국어를 배웠으며 고려가 개국한 뒤에 귀국하여 고려 광종 때 예빈성에 있으면서 중국의 사신의 접대를 맡아 하였다고 한다. 그의 6세손 장기가 흥산(흥성)군에 봉해져서 본관을 흥성으로 하였다. - 묘소는 전북 고창군 성내면 조동리에 있으며 3월 20일에 향사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장중성(張仲誠)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발영시 삼등(三等)
장현경(張顯慶, 1730 庚戌生) : 문과(文科) 영조28년(1752) 정시 병과(丙科) 장근지(張謹止) : 문과(文科) 세종11년(1429) 친시 병과(丙科) 장우구(張宇龜, 1675 乙卯生) : 문과(文科) 숙종34년(1708) 식년시 병과(丙科) 장중성(張仲誠) : 문과(文科) 세조8년(1462) 식년시 을과(乙科) 장한필(張漢弼) : 문과(文科) 예종1년(1469) 추장시 병과(丙科) 장경관(張景觀, 1747 丁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7년(1783) 식년시 이등(二等) 장논(張○, 1642 壬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1년(1660)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6명, 생원진사시 2명) 항렬자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흥성장씨는
1985년에는 8,837가구 37,691명, 2000년에는 14,023가구 44,70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1,973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