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전영령(全永齡)
시조 전영령(全永齡)은 도시조(都始祖) 전섭의 27세손이다. 그는 고려 신종때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으로 공을 세워 옥산군(玉山君, 지금의 경산)에 봉해졌다.그래서 후손들이 정선전씨(旌善全氏)에서 분적,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옥산(경산)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있다.
- 묘소는 경북 경산에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전헌(全獻) : 문과(文科) 중종17년(1522) 식년시 병과(丙科)
전경창(全慶昌, 1532 壬辰生) : 문과(文科) 선조6년(1573) 식년시 병과(丙科)
전응창(全應昌, 1529 己丑生) : 문과(文科) 선조5년(1572) 춘당대시 병과(丙科)
전한(全翰, 1488 戊申生) : 문과(文科) 중종12년(1517) 별시 병과(丙科)
전양(全諒, 1610 庚戌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전윤중(全允中, 1640 庚辰生) : 무과(武科) 현종7년(1666) 별시 병과(丙科)
전응명(全應明,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전희립(全希立, 1613 癸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전경창(全慶昌, 1532 壬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0년(1555) 식년시 삼등(三等)
전덕윤(全德潤, 1567 丁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광해군8년(1616) 증광시 이등(二等)
등 모두 1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4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경산
경산(慶山)은 경상북도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압량소국(押梁小國) 또는 압독소국(押督小國)으로 불렸다가 102년(신라 파사왕 23)에 점령당하여 군이 설치되었다. 642년(선덕여왕 11) 김유신(金庾信)을 군주로 추대하고 압량주가 설치되었고, 750년(경덕왕 9)에 장산군(獐山郡)으로 개편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장산현(章山縣)으로 축소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경산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317년(충숙왕 4)에는 국사 일연(一然)의 고향이라 하여 현령으로 승격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에는 공양왕비의 출신지라 하여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되었다. 1391년 경산군으로 승격하였다. 1395년(태조 3) 다시 현으로 강등되어 계속 유지되어 왔다. 1601(선조 34)~08(선조 41)년에는 대구부에 잠시 병합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하양(河陽)·자인현(慈仁縣)과 함께 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하양·자인군 등을 경산군으로 병합하였고, 1956년 경산면이 경산읍으로 승격하였고, 1989년에 경산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에는 경산군을 통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경산전씨는
1985년에는 2,222가구 8,928명, 2000년에는 4,558가구 14,74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3,92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