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기장전씨(機張全氏)
    유래
     시조 : 전영(全泳)
    시조 전영(全泳)은 도시조 전섭의 30세손이다. 그는 고려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형부전서 판전농사사를 역임하고 공민왕 때 기장백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정선전씨에서 분관해서 기장을 본관으로 하고 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전내훈(全○勳, 1610 庚戌生) : 문과(文科) 인조7년(1629) 별시 병과(丙科)
     전성유(全性有, 1762 壬午生) : 문과(文科) 순조15년(1815) 별시2 병과(丙科)
     전홍일(全弘一, 1589 己丑生) : 문과(文科) 효종2년(1651) 식년시 병과(丙科)
     전성수(全性修, 1758 戊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6년(1792) 식년시 이등(二等)
     전성유(全性有, 1762 壬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3년(1789) 식년시 삼등(三等)
     전홍일(全弘一, 1589 己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6년(1648) 식년시 삼등(三等)
     전재순(全在諄, 1796 丙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헌종14년(1848)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생원진사시 4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
    기장(機張)은 본래 경상남도 양산시(梁山市)에 위치한 지명으로 505년(신라 지증왕 6)에는 갑화량곡현(甲火良谷縣)으로 불리었고, 685년(신문왕 5) 9주 5소경제로 개편하면서 삽량주(歃良州: 梁山)에 편입되었고 757년(경덕왕 16)에는 기장현으로 개명하여 동래군에 속하게 하였다. 995년(성종 14)에는 양주군에, 1018년(현종 9)에는 울주군에 예속되기도 하였고, 차성(車城)이라 불리우기도 하였다. 1391년(공양왕 3)에 기장군으로 승격되었다. 1394년(태조 3) 기장현으로 개편되었다. 1456년(세조 1)에는 동래진의 좌익이 되었다가 1599년(선조 32)에 폐현되어 남쪽은 동래군에, 북쪽은 울산군에 편입되어 울산군 하미면이 되었다. 1617년(광해군 9)에 기장현으로 복원되었고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동래부(東萊府)에 속해 있다가 1896년에 경상남도 기장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동래부가 폐지되어 기장현도 기장면(機張面)이 되어 동래군에 예속되었다. 1973년 동래군이 폐지되고 양산군에 병합되었고, 1980년에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하였다. 기장면(機張面)은 양산군(梁山郡)에 속하였다가 1995년 기장군으로 승격하면서 부산광역시로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기장전씨는
    1985년에는 231가구 1,128명, 2000년에는 68가구 22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