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예천권씨(醴泉權氏)
    유래
     시조 : 흔적신(昕迪臣)
    예천권씨는 본래 성씨는 흔(昕)씨로 선대는 예천지방의 호족으로 호장을 세습했다.
    시조 흔적신(昕迪臣)은 고려중엽 보승별장을 지냈으며, 그는 안동권씨 집안의 딸을 아내로 맞았다. 그의 3세손과 5세손인 흔승단(昕昇旦)은 모두 안동권씨 집안으로 장가를 갔으며, 그러다 예빈경(禮賓卿)을 역임한 6세손 흔섬(昕暹. 자는 명종)대에 이르러 고려 29대 충목왕이 등극하였는데 충목왕의 이름이 바로 흔(昕)이어서 임금의 이름을 임금 이외사람은 쓰지 못하게하는 동양 전제왕권의 관례에 따라 흔섬은 성씨를 바꿔야 했다.이때 흔섬은 흔적신의 처가성이자 3세와 흔승단의 처가성이기도 한 권씨를 새로운 성으로 정하여 권섬(權暹)이라 하고 본관은 시조의 세거지인 예천으로 하였다.
    인물
    예천권씨은 득성초기부터 후손이 귀했다. 6세 권섬이 3 형제를 두었으나 첫째와 둘째가 후손을 두지 못해 세째 권군(權群)이 대를 이었다.
    그의 아들 권맹손(權孟孫)은 고려 공민왕때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당시의 문장가로 <대동시림>을 남겨 가문을 빛냈지만 그도 후손을 두지 못해 아우 권유손(權幼孫)의 두 아들이 대를 잇는다.
    둘째 권선(權善)이 선대에 드물게 권오행(權五行), 권오기(權五紀), 권오복(權五福), 권오륜(權五倫), 권오상(權五常) 5형제를 두고 이들 5형제가 모두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에 올라 가문이 번창하여 조정에서는 예천권씨 집안을 오복문(五福門)이라 일컬었다. 이들 5형제중 권오복은 그 중에서도 가장 뛰어났다.
    권오복은 김종직의 학통을 이어받아 조선 성종17년 문과에 급제하고 사관에 뽑혔다.
    그의 권세에 아부하지 않고 부귀공명에 연연하지 않은 대쪽 같은 선비의 기개는 8세손 권문해(權文海)에게 이어졌다. 그는 일찌기 퇴계문하에서 학문을 닦아 영남학파의 주류로 예천권씨의 명성을 일으켰다. 1552년(명종 7년) 문과에 급제한 그는 정언, 승지를 지내고 외직으로는 대구,공주,청주목사를 거쳤는데 가는곳마다 올바른 정사를 펴서 선정비가 세워 졌다.
    그가 대구목사로 있을때 단군이래 조선 선조 때 까지의 우리역사와 문화예술풍속 등을 총망라하여 107가지 운으로 분류, 저술한 <대동운부군옥> 전20권을 편찬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고 오늘날 목판본 677매만 전해지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권칠임(權七臨) : 문과(文科) 세종5년(1423)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권오행(權五行) : 문과(文科) 연산군4년(1498) 식년시 병과(丙科)
     권희설(權希卨, 1654 甲午生) : 문과(文科) 숙종19년(1693) 식년시 병과(丙科)
     권맹손(權孟孫) : 문과(文科) 세종9년(1427) 중시 을과(乙科)
     권맹손(權孟孫) : 문과(文科) 태종8년(1408)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권희열(權希說, 1649 己丑生) : 문과(文科) 숙종16년(1690) 식년시 병과(丙科)
     권계응(權啓應, 1732 壬子生) : 문과(文科) 영조26년(1750) 식년시 병과(丙科)
     권오복(權五福, 1467 丁亥生) : 문과(文科) 성종17년(1486) 식년시 병과(丙科)
     권문해(權文海) : 문과(文科) 명종15년(1560) 별시 병과(丙科)
     권오기(權五記, 1463 癸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성종17년(1486) 식년시
    등 모두 2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9명, 생원진사시 16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예천읍에서 서북쪽으로 30리길. 용문사 길목에서 왼쪽으로 논두렁길을 따라 1 Km쯤 가면 소백산줄기의 동산아래 울창한 대나무숲이 나타난다.
    마을이름 그대로 대쪽같이 곧은 조상의 기개가 스민 예천권씨의 5백년 마을이다. 5세손 권선이 5형제를두어 "오복문"의 경사가 나면서 가문의 번창을 위해 이들 형제중 막내 권오상이 대대로 살던 하금곡리에서 서쪽으로 2Km쯤 떨어진 신선이 학을 희롱한다는 "신인농학"의 명당을 찾아 이곳 동산 아래에 터를 잡았다고 한다.
    입향조 권오상이 세운 팔작지붕의 99간 종택은 임진왜란시 소실, 현재 57간이 남아 있는데 보물 제457호로 지정돼어있다.
    항렬자
    17世
    환(煥)
    18世
    재(載)
    19世
    현(鉉)
    20世
    승(承)
    21世
    식(植)
    22世
    광(光)
    23世
    수(壽)
    24世
    진(鎭)
    25世
    구(求)
    26世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8世孫은 1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
    예천(醴泉)은 경상북도 북서쪽 끝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 변진미리미동국(弁辰彌離彌凍國)이라는 소국이 있었다. 신라 영역으로 들어가 수주현(水酒縣)이 되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 예천군이라 하였다. 935년(고려 태조 18)에 보주(甫州)로 개칭하였다. 1012년(현종 3) 용궁군(龍宮郡)으로 고쳐져 상주목에 속하였다. 1018년(현종 9) 안동부(安東府)에 편입되었다가 명종 때 기양현(基陽縣)으로 승격, 1204년에는 지보주사(知甫州事)로 승격되었다.
    1416년(태종 16) 예천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729년(영조 5)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연루되어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738년 군으로 환원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용궁군(龍宮郡)을 병합하였고 1937년 예천면은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예천권씨는
    1985년에는 1,137가구 5,275명, 2000년에는 1,512가구 4,87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53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