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나주정씨(羅州丁氏, 압해)
유래
시조 : 정윤종(丁允宗)
시조 정윤종(丁允宗)은 고려시대에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을 지냈다. 나주정씨는 조선 숙종과 경종 때 까지는 본관을 압해로 써오다가 영조 때 압해가 나주에 속하게 되자 본관을 나주로 고치게 되었다고 한다. 인물
옥당(玉堂)이란 홍문관의 별칭으로 그의 가문은 "9대옥당"으로 유명한데 옥당은 옛날 삼사(三司 :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의 벼슬 중에서도 문장과 도덕이 특출한 인물들만 들어갈 수 있었으니 곧 옥당벼슬인 수찬(修撰), 교리(校理), 응교(應敎), 제학(提學)은 선비로서 가장 바람직하고 영예로운 자리였다. 그러기에 "9대옥당"은 자랑할 만한 일로서 정조도 "옥당은 정씨의 세전물(世傳物)"이라며 찬탄했다고 한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은 정조때 형조참의를 지내고 규장각의 편찬사업에 참여했으며 뒤에 황사영(黃嗣永)의 백서사건(帛書事件)으로 강진에 유배되었다. 그 무렵 정약용은 유배지에서 19년간 학문탐구와 저술에 전념하여 학문적 체계를 완성했으며 1818년 귀양에서 풀려나와 만년에는 저술생활로 일관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의연(丁義衍, 1805 乙丑生) : 문과(文科) 헌종5년(1839) 별시 병과(丙科)
정관섭(丁觀燮, 1841 辛丑生) : 문과(文科) 철종13년(1862) 정시 병과(丙科) 정상교(丁庠敎, 1797 丁巳生) : 문과(文科) 순조27년(1827) 증광시 병과(丙科) 정학준(丁學浚, 1815 乙亥生) : 문과(文科) 고종4년(1867) 식년시 병과(丙科) 정현조(丁俔祖, 1757 丁丑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증광시 병과(丙科) 정약용(丁若鏞, 1762 壬午生) : 문과(文科) 정조13년(1789) 식년시 갑과(甲科) 정문섭(丁文燮, 1855 乙卯生) : 문과(文科) 고종25년(1888) 별시2 을과(乙科) 정규회(丁奎會, 1854 甲寅生) : 문과(文科) 고종19년(1882) 증광시 병과(丙科) 정약전(丁若銓, 1758 戊寅生) : 문과(文科) 정조14년(1790) 증광시 병과(丙科) 정재욱(丁在昱, 1752 壬申生) : 문과(文科) 정조19년(1795)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8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3명, 무과 19명, 생원진사시 137명, 역과 3명, 의과 1명) 세거지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효정리 -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면 산정리 -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구로리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 - 평안남도 화천군 후탄면 월탄리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
나주(羅州)는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지역으로 백제 때 발라군(發羅郡)으로 불리었고, 뒤에 죽군성(竹軍城)으로 바뀌었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이곳에 대방주(帶方州)를 설치하였으며, 686년(신라 신문왕 6)에는 통의군(通義郡)으로, 757년(경덕왕 16) 이후로는 금산군(錦山郡) 또는 금성군(錦城郡)으로 부르며 무주(武州: 光州)의 관할로 두었고, 회진현(會津縣)·여황현(艅艎縣)·철야현(鐵冶縣) 등이 부속으로 영입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나주로 지명이 바뀌었고, 983년(성종 2)에 나주목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나주진해군절도사(羅州鎭海軍節度使)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다시 나주목으로 고쳐 5개의 속군(무안·담양·곡성·낙안·남평)과 11개의 속현(철야·반남·안노·복룡·원율·여황·창평·장산·회진·진원·화순)을 거느렸다. 1310년(충선왕 2)에 지주사(知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승격하였다.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주로 목(牧), 부(府)로서 전남지역 행정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로서 나주군 등을 관할하였고, 1981년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통합하여 금성시로 승격하여 나주군에서 분리되었고, 금성시는 1985년 나주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나주시와 나주군이 통합되어 나주시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나주정씨는
1985년에는 15,221가구 62,554명, 2000년에는 25,786가구 82,86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25,088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교리공파(校理公派) : 사직공파(司直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충순위공파(忠順衛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
월헌공파(月軒公派) : 문화공파(文化公派), 공안공파(恭安公派), 첨정공파(僉正公派), 연안부사파(延安府使派), 어사공파(御使公派), 전적공파(典籍公派), 서윤공파(庶尹公派), 야은공파(野隱公派), 사련공파(司鍊公派)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