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 광주정씨 참고.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수선(鄭壽先, 1625 乙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2년(1651) 식년시 이등(二等)
정치복(鄭致復, 1730 庚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9년(1773) 증광시 삼등(三等)
정수창(鄭壽昌, 1602 壬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1년(1633) 식년시 삼등(三等)
정운필(鄭運弼, 1756 丙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7년(1783) 증광시 삼등(三等)
정육(鄭○, 1603 癸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4년(1646)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생원진사시 5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光山)은 전라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무진주(武珍州)이다. 신라시대에 이르러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757년(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진성여왕 때는 견훤(甄萱)이 이곳에 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하기도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관제개혁 때 해양도(海陽道) 소속이 되었다가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 일명 冀陽州)라 고쳤으며, 충선왕 때 이르러 화평부(化平府)로 강등되어 공민왕 때 광주목(光州牧)이 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성종 때에는 광산현으로 강등되었고, 연산군 때 주(州)로 환원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羅州府) 관할의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910년 광주면이 되었고, 1935년 광주읍(光州邑)이 부(府)로 승격됨에 따라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88년 송정시와 함께 광주직할시에 편입되었고, 1995년 광주광역시 광산구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광산정씨는
1985년에는 925가구 4,105명, 2000년에는 1,709가구 5,79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91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