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광주정씨(光州鄭氏)
    유래
     시조 : 정신호(鄭臣扈)
    시조 정신호(鄭臣扈)는 광주에 세거한 토족 신라 6부 촌장의 한 사람인 지백호(智伯虎)의 후손이다.
    정신호는 고려 충선왕과 충숙왕 때 봉은사 진전직(奉恩寺眞殿直), 판도사사(版圖司事), 상호군(上護)을 지내고 삼중대광 문하찬성사(三重大匡門下贊成事)에 추봉되었다.
    인물
    정만종(鄭萬鍾)은 1516년(중종 11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정언, 지평, 장령,
    우부승지, 형조참판 등을 역임하고 1539년 예조참판으로 진위사(陳尉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후 한성부좌윤을 거쳐 충청도, 함경도, 경상도 등의 관찰사를 지냈다.
    정사호(鄭賜湖)는 이조참의,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후 황해도관찰사, 이조참판,
    동지춘추관사, 한성부윤 등을 거쳐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정사위(鄭士偉)는 156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다. 그후 도승지, 전라부윤 등을 거쳐 1591년 동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다음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병조참의로 왕을 평양에 호종(扈從)했고, 세자를 따라 강계로 가던 도중에 숨을 거두었다.

    또한 정이주(鄭以周)는 1568년(선조 1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갑과로 급제 1570년 예조좌랑으로 <명종실록>편찬에 참여하고 그후 정언, 지평, 정주목사 등을 지냈다.
    그리고 한말에 정춘수(鄭春洙)는 3.1 운동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으로 독립선언문에 서명하고 옥고를 치른 뒤 독립운동과 종교운동에 종사했다.

    영조 때 화가로 이름난 정선(鄭敾)은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려 강한 농담(濃淡) 대조위에 청색(靑色)을 주조(主調)로 한 새로운 화풍( 風)을 개척하여 심사정(沈師正), 조영석(趙榮 )과 함께 삼재(三齋)로 일컬어졌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수준(鄭壽俊) : 문과(文科) 현종9년(1668)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정인인(鄭麟仁) : 문과(文科) 연산군4년(1498)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정묵(鄭默, 1553 癸丑生) : 문과(文科) 선조24년(1591) 별시 병과(丙科)
     정연(鄭淵) : 문과(文科) 중종10년(1515) 별시 병과(丙科)
     정윤(鄭崙) : 문과(文科) 선조10년(1577) 별시 병과(丙科)
     정인관(鄭仁寬) : 문과(文科) 명종7년(1552) 식년시 병과(丙科)
     정택(鄭擇, 1701 辛巳生) : 문과(文科) 영조37년(1761) 정시 병과(丙科)
     정의신(鄭誼臣, 1525 乙酉生) : 문과(文科) 명종19년(1564) 식년시 병과(丙科)
     정협(鄭浹, 1548 戊申生) : 문과(文科) 선조28년(1595) 별시2 병과(丙科)
     정징(鄭徵, 1641 辛巳生) : 문과(文科) 현종7년(1666)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0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4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63명, 의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기도 광주군 오포면
    -경기도 용인군 모현면
    -강원도 춘성군 남면 서천리
    -전남 광산군 대촌면
    -전남 나주군 왕곡면, 번남면 대안리
    -전남 함평군 손불면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주(光州)는 전라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백제시대에는 무진주(武珍州)이며 신라시대에 이르러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892년(진성여왕 6)에는 견훤(甄萱)이 이곳에 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하기도 하였으나, 940년(고려 태조 23)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관제개혁 때 해양현(海陽縣)이라 불렀고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 冀陽州)라 고쳤다가 1275년(충렬왕 1) 다시 무주로 개칭하였다. 1310년(충선왕 2)에 화평부(化平府)로, 1362년(공민왕 11)에는 무진부(武珍府)로, 1373년(공민왕 22)에 이르러 광주목(光州牧)으로 개편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1451년(문종 1)에 다시 광주목이 되고, 1489년(성종 20)에는 광주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501년(연산군 7) 광주목으로 환원되었다. 1624년(인조 2)에는 광산현(光山縣)으로 편입되었다가 1634년에 다시 광주목으로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羅州府) 관할의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 실시로 전라남도의 도청이 위치하면서 당시까지 전라도 남부지방의 중심지였던 나주를 대신하여 전라남도의 중심지로 성장하게 되었다. 1911년 광주면으로 신설되었고, 1935년 광주읍(光州邑)은 부(府)로 승격되었고, 광주군은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49년 지방자치제 실시로 광주시가 되고 1986년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88년에는 송정시와 광산군을 흡수하여 광산구를 신설하였고, 1995년 광주광역시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광주정씨는
    1985년에는 3,446가구 14,923명, 2000년에는 4,717가구 15,14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607명으로 조사되었다.